김은정 증권부 기자 kej@hankyung.com
“기다리다 지친 시장의 자구책 아니겠습니까.” 지난달 말 우리투자증권이 ‘유사 신용평가’ 논란으로 홍역을 치른 데 대한 시장 안팎의 반응은 이렇다. 우리투자증권은 지난달 27일 금융투자협회 채권포럼에서 자체적으로 평가한 독자 신용등급 중 일부를 공개했다. 신용평가사들은 “신용평가업 허가를 받지 않은 증권사가 임의적으로 기업의 신용등급을 매길 수 없다”고 반발했다. 이름이 거론된 기업은 “대외 신인도에 타격을 입었다”고 항의했다.
이 같은 시장의 혼란은 금융당국이 자초한 측면이 크다. 독자 신용등급이란 모기업의 지원 가능성을 제외하고 개별 기업의 사업·재무상태만 평가한 신용등급이다. LIG건설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와 진흥기업의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을 거치면서 독자 신용등급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모기업의 지원 가능성까지 반영한 최종 신용등급이 기업의 신용위험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판단에서다.
금융위원회가 작년 3월 신용평가시장 선진화 방안을 발표할 때 독자 신용등급 도입은 핵심 내용으로 담겼다. 하지만 금융위는 경기침체 상황을 이유로 독자 신용등급 도입 계획을 사실상 철회했다. 금융위는 “기업들이 실적 악화로 고전하고 있는 가운데 독자 신용등급까지 공개하면 자금조달에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회사채시장에서 비우량 기업에 대한 기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증권사, 학계, 민간 연구소 모두 회사채시장의 양극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독자 신용등급 도입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미 시장에서는 신용등급과 상관없이 회사채 가격이 결정되고 있다. A급 회사채가 신용위험에 대한 우려로 BBB급 수준으로 거래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증권사 기업금융 실무자는 “독자 신용등급을 통해 최종 신용등급에 이르는 중간 과정이 투명하게 드러나면 투자자도 막연하게 비우량 회사채를 외면하지 않을 것”이라며 “신평사도 지금처럼 거품 낀 신용등급을 내놓기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신평사들은 독자 신용등급 공개를 위한 내부적인 준비를 마친 상태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의견을 무시하고 자발적으로 독자 신용등급을 발표하는 게 부담스럽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금융당국은 무엇이 진정으로 시장과 기업을 위하는 길인지 곰곰이 생각해볼 일이다.
김은정 증권부 기자 kej@hankyung.com
▶급등주 자동 검색기 등장...열광하는 개미들
▶[한경 스타워즈] 대회 한 달만에 전체 수익 1억원 돌파! 비결은?
▶ "대마도는 한국땅" 日 뜨끔할 근거 들어보니
▶ 박시후 고소한 A양, 연예인 지망생 이라더니…
▶ MC몽, 안보여서 `자숙`하는줄 알았는데 '깜짝'
▶ 日 재벌 회장 "김연아 '우승' 사실은…"
▶ '짝' 출연 女연예인, 하루에 받는 돈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