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부·금융위 불통으로 재형저축 혼선
취득·소득세 통계도 부처간 숫자 큰 차이
![](http://www.hankyung.com/photo/201303/2013031957881_2013031914421.jpg)
![](http://www.hankyung.com/photo/201303/2013031957881_2013031914431.jpg)
○재형저축 구조도 몰랐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상품의 조기 출시를 위한 의욕에 넘친 나머지 국세청 홈페이지 서버의 용량을 사전에 점검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금융위원회, 국세청과 사전협의만 제대로 했다면 막을 수 있는 사고였다”고 말했다.
재형저축 출시에 따른 혼란은 부처 간 칸막이가 국민에게 어떤 피해를 입히는지를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다. 박근혜 대통령이 부처 간 칸막이 혁파를 외치고 있는 것도 이런 사례들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지적이다. 재형저축의 경우 세제 혜택에만 초점을 맞추다 보니 정작 상품구조에 대한 검토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연 4.5%대의 고금리 혜택을 주는 것 같지만 가입 후 3년이 지나면 저축잔액이 커져 금리가 떨어지도록 돼 있다”고 말했다. 이 사실을 뒤늦게 안 가입자들이 은행창구에 항의하는 일이 비일비재했지만 정부에 일방적으로 끌려들어간 은행도 억울하긴 마찬가지였다.
○국민은 안중에도 없다
새 정부가 국정과제로 제시한 고용과 복지의 연계도 부처 간 칸막이에 막혀 있다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나서서 교통정리를 한 케이스.
고용노동부의 ‘취업성공패키지’와 보건복지부의 ‘희망리본사업’은 저소득층의 고용지원이라는 점에서 같은 성격의 사업이지만 지원대상은 각각 차상위계층(소득이 최저생계비의 100% 이상 120% 미만)과 기초수급자로 달랐다. 문제는 두 부처가 지원 대상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주도권 다툼을 벌인 것.
결국 인수위에서 난상토론이 이어졌고 최근에야 양 부처 간 합의가 이뤄졌다. 복지부 관계자는 “일할 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의 자활사업은 취업성공패키지를 통해, 당장 일할 여건이 안 되는 사람은 희망리본사업이나 복지부가 진행하는 자활사업을 통해 재도전하는 기회를 주기로 했다”고 말했다.
양쪽의 다툼을 지켜본 재정부 관계자는 “두 부처 모두 기존에 해왔던 사업과 예산배분의 주도권을 놓지 않으려는 게 다툼의 원인이었다”며 “정작 정책수요자 입장에서는 전혀 중요하지 않은 문제”라고 말했다. 최근에 네일아트 면허를 둘러싼 복지부와 문화체육관광부의 갈등도 국민을 생각하지 않는 대표적인 부처이기주의 행태로 손꼽힌다.
관계부처 장관회의의 의제를 둘러싼 부처 간 갈등 해결도 해묵은 과제 중 하나다. 재정부 관계자는 “자기 부처의 역점사업이라는 이유로 관계부처회의 안건에 올리기를 꺼리는 부처가 많다”며 “더구나 ‘우리 장관의 발표 몫’이라고 요구해오는 통에 애를 먹는 경우도 다반사”라고 말했다.
○통계도 칸막이에 갇혔다
통계도 문제다. 박형수 통계청장은 “부처 안의 칸막이에 갇혀 있는 통계가 많다”며 “취득·소득세만 해도 재정부와 안전행정부의 숫자가 다르다”고 말했다.
복지부의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과 국세청의 세원정보, 금융정보분석원(FIU)의 금융거래정보 등 협업을 해야 할 분야가 많은데 통계 공유가 안 된다는 것. 건강보험공단 관계자는 “국세청의 자료제공 거부로 지역가입자들의 건보료를 제대로 걷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용근로자 549만명의 소득정보를 비롯해 65만명에 달하는 양도·상속·증여소득자 정보 등이 대표적이다. 연 소득 4000만원 미만의 금융소득만 50조원에 달하고 퇴직소득도 27조원이 육박하지만 이 자료 역시 국세청만 갖고 있어 건보료를 매기지 못하고 있다.
이심기/류시훈/김용준 기자 sglee@hankyung.com
▶급등주 자동 검색기 등장...열광하는 개미들
▶[한경 스타워즈] 대회 한 달만에 전체 수익 1억원 돌파! 비결은?
▶ 女직장인 "밤만 되면 자꾸 남편을…" 고백
▶ 고영욱, '화학적 거세'는 안심했는데 '덜덜'
▶ "이효리 제주도에 신혼집 마련" 알아보니
▶ 이경규 '꼬꼬면' 눈물 흘린 이유가…
▶ 개그맨 김학래, 탕수육으로 年 100억 벌더니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