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증권은 13일 미국 증시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것은 부동산 등에 따른 '부의 효과(Wealth Effect)'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오승훈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미국 증시의 상승 요인으로는 정책효과 이상의 강한 기대가 존재한다"며 "경기에 대한 낙관, 좀더 구체적으로 '부의 효과'에 대한 기대가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부의 효과는 부동산, 주식 등 가계가 보유한 자산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소비가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2012년 부의 효과는 900억달러로 추정했다.
오 애널리스트는 "급여세 감면 혜택 종료로 인한 가계 부담이 1150억달러인 점을 감안하면 가처분소득의 감소를 상당 부분 상쇄한다"며 "1분기에도 지속되고 있는 주식시장의 호조와 부동산 가격의 상승은 부의 효과를 더 가속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부동산의 부의 효과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봤다.
그는 "가계 부동산 자산은 2007년말 고점대비 78% 수준에 머물러 있어 부의효과의 확대 가능성이 높다"며 "주식과 달리 부동산은 부의효과가 크고 지속되는 특징을 보여 미국주가가 조정을 받더라도 부동산의 부의효과가 시장의 안전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오 애널리스트는 "미국의 재정문제, 중국의 경기둔화, 이탈리아 재총선 등 악재가 결합되는 시기는 5월 이후일 것"이라며 "악재의 결합을 미리 걱정하기보다 미국 부의 효과에 따른 긍정적인 영향을 누리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
▶급등주 자동 검색기 등장...열광하는 개미들
▶[한경 스타워즈] 대회 개막 1달만에 7000만원 수익! 비결은?
▶ "이효리 제주도에 신혼집 마련" 알아보니
▶ 女대생, 男선배 앞에서 '애교'떨다 그만
▶ 개그우먼 배연정, '국밥' 팔아 하루 버는 돈이
▶ 이경규 딸, 라면 CF서 '폭풍 미모` 뽐내더니
▶ "야동 못 끊는 남편 어쩌죠" 女교수 대답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