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선 특정 군맥 독주 우려
![](http://www.hankyung.com/photo/201303/2013030387631_2013030302031.jpg)
박근혜 정부에서는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내정자가 컨트롤 타워 역할을 담당한 가운데 안보라인은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 외교라인은 윤병세 외교부 장관 후보자,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맡았다. 정보라인은 남 국정원장 후보자, 남북관계는 류길재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맡게 된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군부, 특히 육사 출신의 약진이다. 외교·안보팀의 절반인 3명이 군부 인사로 모두 육사 출신이다. 특히 남 후보자(25기)는 김 내정자(27기)의 육사 2기수 선배다. 남 후보자가 거친 6사단장·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한미연합사 부사령관·육군 참모총장 등을 김 내정자가 이어받아 두 사람 간 친분이 두텁다고 군의 한 관계자는 말했다. 여기에 외교·안보라인은 아니지만 박흥렬 경호실장은 육군 총장 등 군 주요 직위를 김 내정자로부터 이어 받은 인물이다. 박근혜 정부의 주요 인사가 ‘육사-육군 참모총장’ 라인으로 이어지면서 “외교·안보라인 인사의 중심에 김 내정자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남 후보자가 원칙과 소신주의자라는 평가를 받아 김 내정자와 남 후보자 간 안보 정책에서 협조와 견제가 적절히 이뤄질 것으로 군 관계자는 전망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군 출신 인사를 대거 기용한 것은 북한의 3차 핵실험으로 안보위기가 고조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지난 3·1절 기념사에서 “북한은 핵개발과 도발로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고 고립과 고통만 커진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때문에 박근혜 정부가 선제적인 대북제안을 내놓기보다는 북한의 행동변화를 기다릴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새 정부의 대북정책이 신뢰할 수 있는 북한의 선(先) 행동을 전제로 한 ‘한반도신뢰프로세스’가 작동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외교·안보라인 구성에 대해 야당은 특정 군맥의 독주가 우려된다며 비판을 제기했다. 김현 민주통합당 대변인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참석 멤버들이 육사 출신들로 둘러싸여 있으면 정보 한정 및 독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 女교수, 딸에게 '콘돔' 주면서 하는 말이
▶ '아빠 어디가' 출연 한 번에 2억5천만원 횡재
▶ 女비서 "사장님 몸종 노릇에…" 눈물 고백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女고생 학교 앞 모텔에 들어가 하는 말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