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종 <HS애드 대표크리에이티브디렉터 jjongcd@hsad.co.kr>
![](http://www.hankyung.com/photo/201302/2013022843541_2013022867781.jpg)
한번은 메모장에 이런 궤변을 늘어놓은 적이 있다. ‘혹시 지금 보이는 동물이 그 사람의 전생이었던 것은 아닐까. 그리고 아무리 연상해도 떠오르는 동물이 없는 사람들. 그 사람들은 할 수 없지, 그 사람들은 전생에 사람이었음이 틀림없다.’ 내가 생각해도 어처구니없다. 그래도 가끔 술자리에서 이런 얘길 해주면 사람들은 꽤나 즐거워한다. 그러다 사람 하나 하나 들먹이며 개니 소니 새니 맞추기 놀이를 해댄다. 어떨 때는 의견 충돌로 서로를 힐난하기도 한다. 그럴 때면 나에게 판정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는데 내가 무슨 사이비 과학의 창시자도 아니고, 난감하기 이를 데 없다. 그래도 가끔은 나도 취기를 못 이겨 무슨 재판관이라도 된 양 최종 판결의 의사봉을 두드리는데 실로 한 인간이 동물이 되는 경건한 순간이 아닐 수 없다. 그날 우리가 아는 거의 모든 사람들은 동물이 된다.
얼마 전엔 광고도 만들고 그림도 그리는 친구 중에 나와 비슷한 취미를 가진 젊은이를 만났다. 회의할 때도 늘 끄적끄적 뭔가를 그려대던 친구였는데, 어느 날 찾아와 본인이 만든 책 하나를 쭈뼛쭈뼛 내밀어 보이는 것이 아닌가. 책의 표지를 보니 책 제목이 페이스북(facebook)이었다. 그야말로 얼굴그림 모음 책이었다. 지금까지 만난 사람들 얼굴을 몰래 몰래 스케치한 책이었는데 옆에는 그 사람에 대한 단상도 적어 놓았다. 어릴 때부터 왠지 사람들 얼굴에 끌리고 교과서는 얼굴그리기 낙서장이 됐다는 저자의 모두발언이 낯설지 않았다. 물론 내 얼굴과 단상도 책 중간 어디쯤 놓여 있었다. 솜씨 좋은 그림과 글들 덕택에 기분 좋은 오후가 됐다. 한편으론 얼굴을 들여다보는 취미는 같지만 농짓거리나 해대는 내가 왠지 철딱서니 없어 보이기도 했다. 참고로 난 개다.
이현종 <HS애드 대표크리에이티브디렉터 jjongcd@hsad.co.kr>
▶ 女교수, 딸에게 '콘돔' 주면서 하는 말이
▶ '아빠 어디가' 출연 한 번에 2억5천만원 횡재
▶ 女비서 "사장님 몸종 노릇에…" 눈물 고백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女고생 학교 앞 모텔에 들어가 하는 말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