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대학 맞춤형으로 교육 정상화
학벌·스펙 위주서 능력중심 체제로 전환
![](http://www.hankyung.com/photo/201302/2013022541001_2013022524651.jpg)
![](http://www.hankyung.com/photo/201302/2013022541001_2013022524661.jpg)
박 대통령의 교육 정책은 교육 정상화를 통해 개인이 행복해지고, 국가가 발전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는 “국민 개개인의 능력을 주춧돌로 삼아 국가가 발전하게 되는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며 “교육을 통해 개인의 잠재된 능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302/2013022541001_2013022524671.jpg)
특히 자유학기제는 개인의 잠재 능력을 끌어내기 위한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박 대통령은 “학생 개개인의 소질과 능력을 찾아내 자신만의 소중한 꿈을 이뤄가고, 그것으로 평가받는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서 사회에 나와서도 훌륭한 인재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 정상화를 위해 교육 부담을 줄이는 정책들은 유아부터 대학까지 생애주기별 맞춤형으로 추진된다. 0~5세는 무상 보육·교육을 실시하고 초등 단계에선 저녁 10시까지는 온종일 돌봄교실을 운영한다. 2014년부터는 단계적으로 고교 무상 교육을 실시한다.
가장 큰 부담으로 꼽히는 대학 입시는 전형 요소를 학생부·논술·수능 위주로 간소화하고 출제 범위도 고교 교육 과정을 벗어나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대입전형 3년 예고제’를 도입, 최소한 중3 때는 자신이 치를 대입 전형을 파악하도록 해 안정성을 확보한다. 소득 연계 맞춤형 반값 등록금, 국·공유지를 활용한 기숙사 건립 등의 정책도 지속적으로 늘려간다.
박 대통령은 또 “학벌과 스펙으로 모든 것이 결정되는 사회에서는 개인의 꿈과 끼가 클 수 없고 희망도 자랄 수 없다. 우리 사회를 학벌 위주에서 능력 위주로 바꿔가겠다”고 했다. 지방 대학을 포함한 대학 특성화와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보급은 이를 뒷받침하는 핵심 정책들이다.
직무능력표준은 채용 단계에서부터 학벌이나 시험 점수같은 스펙이 아닌 직무와 관련한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국가와 산업계, 교육계가 함께 만드는 것이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女고생 학교 앞 모텔에 들어가 하는 말이…
▶ NRG '노유민' 커피전문점 오픈 6개월 만에
▶ 임윤택 꾀병 몰아간 '일베'의 실체가…깜짝
▶ 소유진 남편, 700억 매출 이젠 어쩌나? '쇼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