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2/2013022282171_2013022290891.jpg)
이 연구위원은 “일본의 재계 유력 인사들이 박근혜 정부의 행보를 주시하고 있다”며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큰 만큼 양국 간 경제와 신뢰관계에 손상을 미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치권에서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 기업들은 이전에는 한국에 대해 호의적이었지만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과 일왕 발언이 나온 직후 냉랭해졌다”며 “한국에 대한 일본의 직접투자가 늘어나는 분위기였는데 투자자들의 시선이 불안해지고 투자 결정에도 시간이 걸리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302/2013022282171_2013022290901.jpg)
이 수석연구위원도 “결국 경제를 움직이는 건 사람들의 기대”라며 “2050년이 되면 세계 경제의 50%를 아시아가 차지하는 시대가 오는 만큼 가장 가까운 나라인 일본과의 관계를 원만히 발전시켜 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00년대 중반 일본의 경기가 한때 회복한 것은 중국 경제의 성장에 편승한 측면이 컸던 만큼 한·중·일 3개국의 긴밀한 협조·경쟁체제를 잘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박근혜 정부의 주요 정책과제인 환율 안정과 성장 지속, 복지와 균형재정 등의 주요 목표를 이루는 데 일본의 사례는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며 “일본 정·재계와의 협력은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女고생 학교 앞 모텔에 들어가 하는 말이…
▶ NRG '노유민' 커피전문점 오픈 6개월 만에
▶ 배기성, 음식 사업망하고 '폭탄 고백'
▶ 소유진 남편, 700억 매출 이젠 어쩌나? '쇼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