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2/2013021589971_2013021594001.jpg)
1965년 첫 삽을 뜬 G밸리는 초창기엔 섬유 봉제 산업이 주종을 이뤘다. 2000년대 들어 지식산업센터가 들어서면서 모습이 급격히 변하기 시작했다. 2000년 G밸리 입주기업은 712개에 불과했으나 지금은 1만개를 훌쩍 넘었다. 대표업종도 섬유에서 정보기술(IT)로 바뀌었다.
=G밸리의 변신은 영국 ‘트래퍼드파크’ 재생스토리와 닮았다. 영국 북서쪽 맨체스터시에 있는 트래퍼드파크는 1895년에 조성됐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산업단지다. 이 단지는 전통제조업 중심으로 1970년대까지 번성하다가 탈산업화 등의 여파로 쇠퇴하는 위기를 겪었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302/2013021589971_2013021593851.jpg)
김 이사장은 “트래퍼드파크는 쇠퇴한 단지의 재생을 위해선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역할과 전략, 지방정부의 지원, 민간 개발업체의 주도적인 참여가 어우러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덧붙였다.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연예인 맞는다는 '비타민주사' 효과가…깜짝
▶ 연예계 성스캔들 '술렁'…女배우 누군가 봤더니
▶ 의사에게 성폭행 당한 女 "기억이 잘…"
▶ 소유진 남편, 700억 매출 이젠 어쩌나? '쇼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