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22.67

  • 33.17
  • 1.23%
코스닥

866.18

  • 15.43
  • 1.81%
1/3

내각인선 차질땐 MB맨들과 국무회의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내각인선 차질땐 MB맨들과 국무회의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2월4일까지 선임 못하면 現 장관 근무 길어질수도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의 낙마로 박근혜 당선인이 대통령 취임(2월25일) 전까지 내각을 제대로 구성할 수 있을지가 불투명해졌다. 자칫하면 취임 후 한동안 이명박 정부의 총리나 장관을 데리고 국정을 꾸려가야 하는 ‘어색한 동거’ 상황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박 당선인이 취임 전까지 조각을 마치려면 늦어도 2월4일까지 새 총리와 장관 후보자 명단을 확정해 국회에 인사청문안을 제출해야 한다. 타임 스케줄상 아직까지는 새 총리와 장관 후보자를 지명할 수 있는 시간이 남아 있기는 하다. 하지만 결코 여유로운 상황은 아니다. 김 후보자의 낙마로 당장 총리 인선 작업이 원점으로 돌아간데다 이 과정에서 박 당선인의 ‘나홀로 인사’ 스타일이 약점으로 부각된 만큼 향후 인선 과정은 더욱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다.

특히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제2의 김용준’이 나온다면 초대 내각 구성은 결정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실제 5년 전 이명박 정부도 초대 총리 지명자인 한승수 전 총리의 국회 임명 동의가 늦어지고 일부 장관 후보자가 낙마하면서 첫 국무회의에 노무현 정부의 장관 일부를 대참시켜야 했다. 이명박 정부가 임명한 국무위원들로만 진행된 첫 회의는 정부 출범 후 23일 만인 3월18일에야 이뤄졌다.

정부조직개편안의 국회 처리 여부도 만만치 않은 변수다. ‘공룡부처’ 논란을 빚고 있는 미래창조과학부나 통상교섭본부의 산업통상자원부 이관 등 조직개편의 핵심 내용이 바뀌면 박근혜 정부의 색깔 자체가 희석될 수도 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

▶ 싸이 '13억 저택' 미국에 숨겨뒀다 들통나

▶ 女아나운서 '신혼 아파트' 월세가 무려…

▶ '쿨' 김성수 "잘나갈 때 번 돈 모두" 눈물 고백

▶ 소유진 남편, 연대 나왔는데 17억 빚 떠안고…

▶ 박신양이 자랑한 '7천만원대' 신혼집 보니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