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 창작·창업 공간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컨설팅·해외진출 등 지원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 창작·창업 공간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컨설팅·해외진출 등 지원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캠퍼스 잡앤조이=김지민 기자] 경기콘텐츠진흥원은 2019년에도 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이하 북부 허브)에서 메이커와 스타트업을 위해 다양한 메이커스페이스 및 공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북부 허브는 경기 북부 산업고도화를 위해 구축된 스타트업 육성 거점사업으로 △스타트업 입주공간 및 개방형 코워킹스페이스 메이커스페이스(스튜디오·편집실·장비실 등) 카페형 협업공간 등의 기반시설 운영과 더불어 스타트업의 교육·창업·컨설팅·개발·홍보마케팅·해외진출 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메이커스페이스는 누구나 신청만 하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총 12종, 20여 개의 메이커 장비와 작업 공간으로 구성된 장비실, 촬영 스튜디오, 영상 편집실이 마련돼 있어 시민과 스타트업의 다양한 메이커(창작·시제품 제작 등)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주요 보유 장비는 3차원 입체 물품을 인쇄하는 ‘3D프린터’, 사물을 스캔할 수 있는 ‘핸드스캐너’, 레이저로 물건을 자르거나 각인 할 수 있는 ‘레이저커팅기’,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목재나 금속, 섬유 등에 인쇄할 수 있는 ‘UV프린터’, 가공 절삭할 수 있는 ‘CNC조각기’, 공작 기계로 활용 가능한 ‘소형공작기계’, 금속 재질에 각인을 새길 수 있는 ‘금속마킹기’ 등이 있다. 또 메이커스페이스에는 기술지원 전담 매니저가 상주하고 있어 언제든지 장비교육과 기술 조언을 받을 수 있다.

메이커스페이스의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아이디어의 시제품화를 지원하는 ‘테스팅 워크숍’, 가족대상 메이커 주말체험 프로그램인 ‘DIY위켄드’, 청소년 대상 ‘메이커 진로교육 프로그램’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공간 활성화의 일환으로 산업트렌드 및 인문학 특강, 스타트업 고민을 해결해주는 스타트업 상담소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연중 운영될 예정이다.

북부 허브의 장비 및 시설 이용, 프로그램 참여는 경기문화창조허브 홈페이지의 공간, 장비, 프로그램 등 각 게시판에서 신청할 수 있다.

min503@hankyung.com

[사진 제공=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 공식 블로그]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