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아시아 주요국, 미 신정부 관세·우회수출 규제 우려"
"중국 외 생산·투자 거점으로 입지 다지기에도 주력"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인도, 일본 등 아시아 주요 6개국들이 보편관세 부과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아시아 주요 6개국들은 트럼프 당선인이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던 고관세 정책, 중국 우회수출 규제에 우려하면서도 아시아 내 중국 외 생산·투자 거점으로서 입지를 다지는 데 주력하고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미국 신정부 출범 계기 아시아 주요국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15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미(對美) 수출 의존도가 높은 아시아 6개국은 보편관세 부과 여부가 미칠 경제적 영향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근 중국 기업들의 투자가 늘어난 동남아와 인도의 경우 미국이 우회수출 규제를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는 데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다만 이런 불확실성과 우려 속에서도 각국은 자국의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새로운 협력 기회를 발굴하는 데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우선 베트남은 엔비디아와의 인공지능(AI) 연구개발 센터 설립, 스페이스X와의 위성통신 개발 협력 등을 준비 중이다.
말레이시아는 반도체 공급망 허브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면서 현지 부품 사용 기업에 대한 관세 혜택을 확대해 현지 지출 여건을 개선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청정에너지 분야 외국인 투자 유치를 적극 추진 중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새로운 협력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태국은 디지털 경제의 지역 허브를 목표로 하고 있다. 클라우드, AI 등 첨단기술 도입을 가속화해 디지털 전환 관련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인도는 보편관세 부과 가능성에도 미국 신정부 출범을 '기회'로 평가하고 있다.
중국의 뒤를 이어 글로벌 제조업의 새로운 허브 역할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일본은 자동차 산업에 대한 관세 부과 여부가 우려되지만 조기 정상회담을 추진하고 외교적 해법을 모색하며 돌파구를 찾고 있다.
이지형 코트라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은 "미국 신정부 출범으로 인한 아시아 시장의 변화는 한국 기업에 새로운 진출 전략을 요구하고 있다"며 "기업들이 현지 기술 협력 강화 및 가치사슬 참여 확대, 신성장 분야 선제적 진출 등을 통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wis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