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눈독' 그린란드엔 희토류 풍부…중국 장악력에 견제구
구인구 5만7천명, 세계에서 가장 큰섬…美 '러 대응' 안보전략 요충지
석유·가스에 희토류도 다량 매장…중국 '광물 통제'에 맞불 포석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 "트럼프는 왜 이렇게 그린란드에 눈독을 들일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7일(현지시간) 그린란드 문제와 관련해 군사력 사용 옵션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뜻을 시사하면서 이 나라가 가진 지정학적 가치에도 관심이 쏠린다.
그동안 그린란드를 사들이겠단 의지를 피력해온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그린란드 등의 통제권 학보를 위해 군사적 강압을 배제하느냐는 질문에 "확언할 수 없다"고 답변했다.
공교롭게도 같은 날 트럼프 당선인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는 그린란드 수도 누크를 찾았다.
덴마크 자치령인 그린란드는 인구 약 5만7천명으로 구성된 국가다. 세계에서 가장 큰 섬으로, 면적이 한반도의 9배 이상인 216만6천㎢다.
18세기 중반부터 1979년까지 덴마크의 지배를 받았다. 2009년 독립 선언 권리가 부여됐지만, 여전히 국방 및 외교 정책 등은 덴마크에 맡기고 덴마크령으로 남았다.
그린란드는 역사적으로 미국의 안보와 관련해 핵심적인 국가로 여겨졌다.
특히 냉전시대 미국을 주축으로 한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는 그린란드와 아이슬란드, 영국을 잇는 이른바 'GIUK 갭'을 통해 러시아의 대서양 진출을 차단·감시했다.
이런 전략적 중요성에 트럼프 당선인의 전임자 중에도 그린란드 매입 방안을 검토한 인물이 있었다.
1867년 앤드루 존슨 당시 대통령은 알래스카와 함께 그린란드 매입까지도 고려했다고 한다.
2차 세계대전 뒤 해리 트루먼 당시 대통령이 덴마크에 그린란드섬 매매가로 1억 달러를 제안했단 내용이 덴마크 언론 보도로 알려지기도 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트럼프 당선인이 더 관심을 두는 쪽은 그린란드의 천연자원일 것이라고 분석한다.
그린란드에는 석유, 가스뿐 아니라 네오디뮴과 디스프로슘 등 반도체, 전기차 등의 제조에 필수적인 희토류 광물이 풍부하게 매장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전 세계 희토류 생산을 장악하고 있는 나라는 중국이다.
영국 로열 홀로웨이 런던대의 클라우드 도즈 교수는 미국 CNN 방송에 트럼프 당선인 측은 중국이 희토류 생산의 목줄을 쥐고 있다는 데에 "매우 우려하고 있다"며 그린란드 매입 아이디어는 중국 견제에 중점을 둔 방안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기후변화로 인한 그린란드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
지구 온난화로 그린란드의 빙하가 녹으면 이 일대 해운 활동과 천연자원 발굴이 더 용이해질 수 있다는 점을 그가 염두에 뒀을 수 있단 분석이다.
도즈 교수는 "트럼프 당선인이 북극이 녹고 있다는 아이디어를 본능적으로 알아챈 것 같다"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트럼프 당선인이 그린란드 매입 아이디어를 띄운 시점이 그린란드 내 독립 여론이 높아지는 상황과 맞물린다는 점에도 주목한다.
그린란드 원주민을 중심으로 덴마크에서 독립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는 가운데 그린란드 정부는 어업에서 벗어나 산업 구조를 다각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린란드 정치권 일각에선 미국과 마셜제도 등이 맺은 자유연합협정(COFA) 모델도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모델은 주권은 그대로 유지하되 전략적 협력을 대가로 미국으로부터 일정한 재정 지원을 받는 방식이다.
덴마크 국제학연구소의 선임 연구원인 울리크 프람 가드는 CNN에 트럼프 당선인의 메시지가 "그저 허세인지, 다른 것을 얻으려는 위협인지, 아니면 실제 하고 싶은 일인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말했다.
hrse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