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8.41

  • 15.90
  • 0.65%
코스닥

681.37

  • 5.45
  • 0.81%
1/4

월세·물가 등에 지갑 닫은 1인가구…"소비회복 구조적 제약"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월세·물가 등에 지갑 닫은 1인가구…"소비회복 구조적 제약"
코로나 이후 3년간 1인가구 소비성향 -5.8%·하락율 최고
"청년층 1인가구엔 주거안정, 고령층 1인가구엔 빈곤대책 필요"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최근 크게 늘어난 우리나라 1인 가구가 높은 주거비와 취업난 등에 씀씀이를 줄이면서 전체 소비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3일 공개한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가구원 수별 2019∼2023년 평균소비성향(소비지출/가처분소득) 변화 조사에서 1인 가구의 감소율이 5.8%(0.78→0.74)로 가장 높았다.
이어 ▲ 3인 가구 -4.3%(0.69→0.66) ▲ 2인 가구 -2.5%(0.71→0.69) ▲ 5인 이상 -1.8%(0.77→0.76) ▲ 4인 가구 -0.5%(0.74→0.73) 순으로 소비 위축의 정도가 심했다.

1인 가구의 평균소비성향 약화의 원인으로는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을 거치면서 오른 주거비가 지목됐다.
1인 가구의 지출 가운데 2023년 기준으로 월세 등 주거·수도·광열비 비중이 평균 20%를 넘는 가운데, 코로나19 이후 지속적으로 월세 수준이 높아지면서 특히 청년층 1인 가구의 소비를 제약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고령층 1인 가구는 코로나19 경제 충격 당시 임시·일용근로 일자리가 크게 줄면서 겪은 '상흔(상처) 효과'가 상당 기간 이어져 소비를 줄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코로나19 이후 급등한 생활물가, 다른 가구원들과 경제 충격을 분담하기 어려운 1인 가구의 구조적 특성 등도 소비성향 약화의 요인으로 거론됐다.

2023년 기준 세 가구 중 한 가구가 1인 가구이고, 전체 소비 지출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약 20%에 이는 상황에서 이들의 소비 위축은 우리나라 전체 소비 회복까지 구조적으로 제약하고 있다는 게 한은의 진단이다.
한은은 "내수 기반 차원에서 1인 가구의 주거·소득·고용 안정이 중요한데, 연령대별로 나눠 정책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청년층 1인 가구의 경우 주거비 부담 해소를 위한 주거 안정 대책이 절실하고, 고령층 1인 가구는 열악한 고용·소득 문제를 해결하는 빈곤 대책이 우선 실행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