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국내 814개사 분석…수출기업은 삼성전자 제외시 5.9%만 증가
![](http://img.yna.co.kr/photo/yna/YH/2024/06/30/PYH202406300562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경기 불황이 이어지면서 올해 상반기 내수기업의 매출액이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한 2020년 이후 전년 동기와 비교해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수출기업의 매출은 10% 넘게 성장했으나 1위 기업인 삼성전자를 제외하면 매출액 증가 폭이 크게 떨어지는 착시 효과가 나타났다.
![](http://img.yna.co.kr/etc/graphic/YH/2024/11/13/GYH2024111300080004400_P2.jpg)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13일 사업보고서 제출 대상인 비금융업 법인 814개사의 경영 성과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이들 기업의 전체 매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6.7% 증가했다.
다만 이런 증가세는 수출기업(194개사)의 매출액이 13.6%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나머지 내수기업(620개사)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1.9% 감소했다. 2020년(-4.2%) 이후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감소한 것은 4년 만이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4/11/12/AKR20241112134900003_01_i.jpg)
한경협은 한국은행의 기준을 준용해 매출액 중 수출 비중이 50% 이상인 기업을 수출기업, 그 미만인 기업을 내수기업으로 분류했다.
매출액이 줄어든 내수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지주회사(-17.6%), 도소매업(-6.5%),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5.5%), 제조업(-1.1%) 순으로 감소율이 높았다. 한경협은 지주회사의 매출 감소는 자회사 실적 부진에 따른 배당 축소, 도소매업의 감소는 소비 부진의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했다.
올해 상반기 수출기업 매출은 전년 대비 13.6% 반등했으나, 가장 규모가 큰 삼성전자를 제외하고 산정하면 5.9% 증가에 그쳤다.
이런 착시효과가 빚어진 것도 2020년 이후 4년 만에 처음이다. 아울러 올해 상반기 수출기업 매출 증가세는 지난해 매출액 감소(-7.3%)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한 측면도 있다고 한경협은 분석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4/11/12/AKR20241112134900003_03_i.jpg)
아울러 올해 상반기 기업 투자 역시 2020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8.3%)했다.
전체 기업 투자 증가율은 2020년 16.9%에서 2022년 9.5%로 낮아졌다가 지난해 15.7%로 반등했으나 올해 들어 다시 대폭 줄었다. 이에 경제 전반의 성장 동력이 위축될 우려가 나온다고 한경협은 설명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 위축과 반도체 등 주력업종 하락 사이클 진입 등으로 지금의 수출 실적이 정점이 아니냐는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며 "가계 소비와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유연한 통화정책, 투자지원 확대, 규제 완화 등 전방위적인 경제살리기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4/11/12/AKR20241112134900003_04_i.jpg)
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