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시론] 美연준 기준금리 인하 '깜빡이'…방향 전환 대비해야
(서울=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31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5.25∼5.50%로 동결하면서 오는 9월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이르면 9월 회의에서 금리 인하를 논의할 수 있다"며 "경제가 기준금리를 낮추기에 적절한 지점에 근접하고 있다"고 말했다. 물론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고 고용시장이 현재 수준으로 유지된다"는 전제조건을 달기는 했다. 그러나 9월 금리인하 시나리오를 기정사실로 해온 시장의 기대에 부응해 종전보다 확실하게 통화정책 전환의 시그널을 보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연준은 기준금리 상단을 공격적으로 인상해 지난해 7월 5.5%까지 끌어올린 뒤 그간 8회 연속으로 동결했다. 그러면서 기준금리를 낮추려면 물가가 지속 가능하게 내리고 있다는 확신이 필요하다고 전제해왔다. 파월 의장은 이번 기자회견에서 "2분기 물가 지표가 (물가가 내리고 있다는) 확신을 강화했다"고 말했다. 연준이 금리인하 카드를 검토하는 배경에는 불안한 고용 상황도 작용하고 있다. 실제 6월 미국 실업률은 2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4.1%)으로, 지난해 말(3.7%)에 비해 0.4%포인트 올랐다. 7월 민간부문 고용도 전달보다 시장의 전망치(15만명)를 밑돌았다. 고금리가 장기화하면서 한계 상황에 몰린 미국 기업들이 채용을 줄이고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과는 반대로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은 단기 정책금리를 현재 0∼0.1%에서 0.25% 정도로 인상하기로 했다. 2016년 2월부터 시작됐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지난 3월 8년 만에 마무리한 데 이어 4개월 만에 다시 금리를 올린 것이다. 엔화 약세 지속과 이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 등 부정적 우려를 해소하고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반영된 조치로 풀이됐다. 이처럼 미국과 일본이 서로 엇갈린 금리 행보를 시사하는 가운데 우리 통화당국의 대응은 더욱 중요해졌다. 각국이 자국 물가나 경기 상황에 따라 차별화된 통화 정책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국내외 금융여건의 변화를 세밀히 주시해야 한다.
지난달까지 12회 연속으로 금리를 동결하며 미국과 보조를 맞춰온 한국은행으로서도 이제 본격적으로 방향 전환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국 경제는 우려했던 물가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내수 부진 등으로 2분기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0.2%)로 돌아섰다. 선제적 금리 인하 등 과단성 있는 통화정책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 다만 가계부채 증가세가 심상치 않은 데다 다시 꿈틀대는 부동산 시장은 큰 부담이다. 미국 대선,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 등으로 환율 변동 리스크도 여전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내외 상황을 면밀히 살피면서 우리 경제 사정에 맞게, 이르지도 늦지도 않은 통화정책 변화의 타이밍을 잡는 게 중요해졌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