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대미 무역흑자 역대상반기 최대…'트럼프 변수' 대응필요성↑
수출 호조에…한국, 미국 무역적자국 순위 2019년 13위→올해 7위 '껑충'
'자국우선 본능' 트럼프 "약탈하게 두지 않을 것"…동맹도 겨냥
"대미수출 증가는 투자급증 등 영향"…대미 소통·설득 중요성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무역수지 적자를 자국의 경제·안보를 위협하는 '약탈'로 간주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공화당 대선 후보로 확정된 가운데 한국의 대미(對美) 무역수지 흑자는 역대 최대치를 경신 중이다.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 확대에는 미중 신냉전이 초래한 공급망 재편, 이에 대응한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급증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맞물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의 대미 흑자는 다른 국가와는 성격이 다른 점이 많은 만큼 한국 정부와 기업들이 다양한 민관 채널을 가동해 미국 조야와 적극적인 소통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올해 대미 흑자 '사상 최대' 500억달러대 전망
21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55.1% 증가한 287억달러를 나타냈다.
이 기간 대미 흑자는 한국의 전체 흑자 231억달러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대미 무역수지는 500억달러대에 달해 역대 최대였던 작년의 444억달러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는 흑자는 2019년 114억달러, 2020년 166억달러, 2021년 227억달러, 2022년 280억달러, 2023년 444억달러로 증가하는 추세다.
미국은 작년부터 한국의 '최대 무역수지 흑자국'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대미 흑자 확대는 한국의 대미 수입에는 큰 변화가 없는데 대미 수출이 급속히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이런 흐름은 작년 하반기부터 뚜렷해지고 있다.
월간 대미 수출은 작년 12월 20여년 만에 대중 수출을 앞질렀고, 이후에도 대체로 미국이 한국의 최대 수출국 지위를 유지 중이다.
올해 상반기 대미 수출도 작년보다 16.8% 증가한 643억달러로, 대중국 수출(634억달러)보다 많았다.
업종별로 보면 자동차가 작년보다 28.9% 증가한 190억달러로 수출액이 가장 많았고, 반도체(45억달러), 자동차부품(41억달러), 석유제품(27억달러), 컴퓨터(18억달러), 배터리(16억달러), 기타 기계류(15억달러), 원동기 및 펌프(12억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대미 수출 호황, 이에 따른 대미 흑자 확대는 자동차 등 한국 주력 수출품의 경쟁력 제고와 함께 미중 전략경쟁에 따른 공급망 재편,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대표되는 미국의 자국 중심 통상정책 등 환경 변화가 복합적으로 맞물려 나타난 현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미국이 반도체,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 분야와 함께 민감하게 여기는 전력망, 통신망, 항만 인프라 등의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한 점도 한국 기업의 대미 수출 증가 요인으로 꼽힌다.
전체적인 수출 호조는 내수와 투자 정체 속에 한국 경제 성장의 버팀목이 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은 1.3% 증가한 가운데 순수출의 기여는 0.6%에 달했다.
◇ 트럼프 "우리나라 약탈하게 두지 않을 것"…동맹도 겨냥
총격 암살 미수 사건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백악관 복귀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대미 흑자 확대가 자칫 한국을 향한 무역 압박의 빌미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트럼프 캠프는 무역 적자 원인으로 한국·일본·유럽·멕시코·캐나다산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을 지목했다.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은 한국의 대미 흑자에서 약 7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당장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18일(현지시간) 공화당 대선 후보 수락 연설에서 자국의 자동차산업을 지키겠다고 강조하면서 "(다른) 나라들이 와서 우리 일자리를 뺏어가고 우리나라를 약탈하게 두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나아가 "다른 나라들은 오랫동안 우리를 이용해왔다. 소위 우리의 동맹이라고 불리는 국가들이 그렇게 했다"며 사실상 한국, 일본, 독일 등 미국에 자동차 수출을 많이 하는 동맹을 겨냥했다.
특히 미국의 입장에서 본 무역 적자국에서 한국의 순위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점은 우려를 키우는 대목이다.
미국 정부 통계를 보면 2021년까지만 해도 한국은 미국의 10대 무역 적자국에 포함되지 않았다. 한국은 2022년 9위(439억달러·이하 미국 기준)로 10위권에 들었고, 지난해 8위(514억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1∼5월 한국은 다시 캐나다를 제치고 7위(285억달러)에 올랐다. 앞선 1∼6위는 중국, 멕시코, 베트남, 독일, 아일랜드, 일본이다.
이런 가운데 한국 정부와 기업, 경제단체들은 그간 미국 조야와 접촉면을 신중히 넓혀왔다.
특히 대미 수출 증가가 상당 부분 미국이 주도하는 공급망 재편에 따른 우리 기업들의 대미 투자 확대 등에 따른 것이라는 점을 부각하면서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를 다른 국가와 단순 비교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산업부 고위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늘어난 대미 흑자 상당 부분이 우리 기업의 미국 투자와 관련된 초기 공장 건설에 필요한 기계나 설비 등 수출과 관련이 있어 미국의 정책에 우리 기업이 호응하면서 유발된 수출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반적 상품 수출 증대로 인한 흑자와는 질적으로 차이가 있고, 미국의 공급망 확충과 경제안보 공급망 강화에도 기여한다는 점을 미국 당국에 꾸준히 알리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신규 공장 건설과 관련된 기타 기계류 대미 수출이 15억달러로 작년보다 239.4% 크게 증가한 것은 '투자 유발형 수출'이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다른 산업부 관계자는 "그간 조심스럽게 한 부분이 많았지만 이제 대외적으로 아웃리치를 더욱 적극적으로 해야 할 시기가 온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 차원뿐 아니라 정책 유관 기관, 고위급 인사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우리 입장을 활발히 알려 나가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한 재계 관계자는 "미국 대선 결과 이후 미국이 한국에 원하는 바를 정확히 알아내고, 우리가 원하는 바를 전달해 조기에 협상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특히 한국 기업의 미국 내 투자 확대와 관련해 일자리 창출, 조세 납부 등 지역 선거 단위의 성과 홍보를 강화해 지역 상·하원 의원들이 한국 기업에 우호적 태도를 취하도록 하는 데 역점을 둘 필요가 커졌다"고 조언했다.
[표1] 올해 1∼5월 미국의 상위 무역수지 적자국 (단위 : 백만달러)
┌─────────┬─────────┬────────┬────────┐
│국가 │수입 │수출│수지│
├─────────┼─────────┼────────┼────────┤
│중국 │ 164,296│ 59,438│-104,859│
├─────────┼─────────┼────────┼────────┤
│멕시코│ 206,796│ 138,652│ -68,144│
├─────────┼─────────┼────────┼────────┤
│베트남│50,446│ 4,385│ -46,061│
├─────────┼─────────┼────────┼────────┤
│독일 │67,208│ 31,507│ -35,701│
├─────────┼─────────┼────────┼────────┤
│아일랜드 │39,320│ 6,909│ -32,411│
├─────────┼─────────┼────────┼────────┤
│일본 │61,536│ 31,599│ -29,937│
├─────────┼─────────┼────────┼────────┤
│한국 │56,129│ 27,671│ -28,458│
├─────────┼─────────┼────────┼────────┤
│캐나다│ 171,475│ 146,488│ -24,987│
├─────────┼─────────┼────────┼────────┤
│대만 │40,968│ 16,961│ -24,006│
├─────────┼─────────┼────────┼────────┤
│인도 │37,596│ 16,928│ -20,668│
└─────────┴─────────┴────────┴────────┘
※ 자료 : 미국 통계국
[표2] 연도별 한국의 대미 수출입 및 무역수지 동향 (단위 : 억달러)
┌─────────┬─────────┬────────┬────────┐
│연도 │수출 │수입│수지│
├─────────┼─────────┼────────┼────────┤
│2024년│643 │356 │287 │
├─────────┼─────────┼────────┼────────┤
│2023년│1,157 │713 │444 │
├─────────┼─────────┼────────┼────────┤
│2022년│1,098 │818 │280 │
├─────────┼─────────┼────────┼────────┤
│2021년│959 │732 │227 │
├─────────┼─────────┼────────┼────────┤
│2020년│741 │575 │166 │
├─────────┼─────────┼────────┼────────┤
│2019년│733 │619 │114 │
├─────────┼─────────┼────────┼────────┤
│2018년│727 │589 │138 │
├─────────┼─────────┼────────┼────────┤
│2017년│686 │507 │179 │
├─────────┼─────────┼────────┼────────┤
│2016년│665 │432 │233 │
├─────────┼─────────┼────────┼────────┤
│2015년│698 │440 │258 │
├─────────┼─────────┼────────┼────────┤
│2014년│703 │453 │250 │
├─────────┼─────────┼────────┼────────┤
│2013년│621 │415 │206 │
├─────────┼─────────┼────────┼────────┤
│2012년│585 │433 │152 │
├─────────┼─────────┼────────┼────────┤
│2011년│562 │446 │116 │
├─────────┼─────────┼────────┼────────┤
│2010년│498 │404 │94 │
└─────────┴─────────┴────────┴────────┘
※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한국무역협회
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