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42.36

  • 13.79
  • 0.54%
코스닥

729.05

  • 14.01
  • 1.89%
1/3

공무원 선호 감소에 공시생 역대 최소…일반기업 취준에 첫 역전(종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공무원 선호 감소에 공시생 역대 최소…일반기업 취준에 첫 역전(종합)
취업시험 준비자 3년째 감소…3년 이상 미취업자 24만명
졸업 후 취업까지 11개월 '역대 최장'…경력직 채용·진학준비 늘어난 영향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공무원 채용 시험을 준비하는 '공시생' 수가 역대 가장 적어 처음으로 일반기업 취업 준비생을 밑돌았다.
청년들이 졸업 후 첫 일자리를 잡을 때까지 기간은 11.5개월로 조사돼 역대 가장 길었다.
통계청은 1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5월 경제활동인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취업시험 준비 3년째 감소…일반기업체 준비, 공무원 첫 역전
지난 5월 기준 취업시험을 준비하는 청년층(15∼29세) 가운데 일반직공무원을 준비하는 사람이 13만1천명이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6년 이후 역대 가장 적은 숫자다.
일반기업체를 준비하는 사람은 16만8천명으로 일반직공무원보다 많았다. 일반기업 취준생 수가 공시생을 웃돈 것은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취업시험 준비자(56만5천명)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일반직공무원이 23.2%, 일반기업체가 29.7%였다. 일반기업체는 2.4%포인트(p) 높아진 반면, 일반직 공무원은 6.1%p 낮아졌다.
최근 공무원 선호도가 감소한 현상이 반영돼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일반직 공무원 다음으로 기능분야 자격증 및 기타(18.9%), 고시 및 전문직(12.7%), 언론사·공영기업체(11.8%) 등의 준비가 뒤를 이었다.
취업시험 준비자는 작년보다 6만9천명 줄어 3년째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406만6천명) 가운데 취업시험 준비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3.9%로 역시 3년째 하락했다.

◇ 청년, 첫 직장 잡을 때까지 평균 11.5개월…역대 가장 길어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청년층이 첫 취업에 성공하는 데 걸린 기간은 평균 11.5개월이었다.
작년보다 1.1개월 늘어난 것으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4년 이후 역대 가장 긴 기간이다.
소요 기간별로 보면 47.7%가 첫 일자리를 잡는 데 3개월이 걸리지 않았다.
30.0%는 1년 이상 걸렸다. 특히 3년 이상 걸리는 비율이 작년 8.4%에서 올해 9.7%로 늘었다.
교육 정도별로 보면 고졸 이하가 지난해 1년 2.8개월에서 올해 1년 5.6개월로 2.8개월 늘었다.
대졸 이상도 8.2개월에서 8.3개월로 늘었다.
기업채용이 경력직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취업 준비 기간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진학 준비 활동이 증가한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고졸자는 대학을, 대졸자는 로스쿨 등의 대학원을 준비하다가 결국 취업으로 돌리면서 취업 소요 기간이 늘었다는 의미다.
실제 교육부 등에 따르면 작년 기준 직업계고 졸업생의 취업률은 전해보다 하락했지만, 대학 진학률은 3년 연속 상승했다.

◇ 청년 미취업자 129만명…3년 이상 미취업 24만명
최종학교 졸업자 중 지난 5월 현재 취업하지 않은 사람은 129만명으로 작년보다 2만9천명 늘었다.
기간별로 보면 6개월 미만이 52만5천명으로 40.7%를 차지했다. 비중은 42.2%에서 40.7%로 1.5%p 하락했다.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사람은 23만8천명으로 작년(21만8천명)보다 2만명 늘었다. 비중도 17.3%에서 18.5%로 높아졌다.
미취업 기간 주된 활동을 보면 여가활동과 진학준비 등을 포함한 '그외' 활동이 22.1%로 5.9%p 높아졌다.
통계청은 이를 진학준비 비율이 높아진 영향으로 설명했다. 올해 처음 집계된 진학준비 비율은 10.9%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교육·취업시험 준비(-3.1%p), 구직활동(-1.6%p), 그냥 시간보냄(-0.7%p), 육아·가사(-0.4%p) 등은 하락했다.
진학 준비가 증가하면서 미취업 기간과 취업 소요 기간이 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대목이다.
대학(3년제 이하 포함)을 졸업하는 데 걸린 평균 기간도 작년보다 0.5개월 늘어난 4년 3.8개월로 통계 작성 이후 역대 가장 길었다.

◇ 5명 중 3명은 첫직장 월급 200만원 미만…시간제 일자리 비중 역대 최대
첫 직장에서 받는 월급은 200만∼300만원 미만이 35.2%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150만∼200만원 미만(33.1%), 100만∼150만원 미만(13.0%) 등이 뒤를 이었다.
청년 중 59.8%는 월급이 200만원 미만이었다. 300만원 이상 받는 비율은 5.1%였다.
첫 일자리의 근로 형태는 전일제가 74.1%, 시간제가 23.4%였다. 전일제 비중은 2.4%p 줄어든 반면, 시간제는 2.0%p 높아졌다. 시간제 일자리 비중은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았다.
계약 형태별로는 계약기간을 정하지 않았으나 계속 근무할 수 일자리가 52.6%로 가장 많았다.
첫 직장의 근속 기간은 1년 7.2개월로 작년보다 0.6개월 늘었다.
첫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로는 보수·근로시간 등 근로여건 불만족이 45.5%로 가장 많았다.

encounter2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