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여파 지속…투자심리 회복에 서울 매매·전세가는 낙폭 축소
![](http://img.yna.co.kr/photo/yna/YH/2024/03/17/PYH202403170659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지난 2분기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와 전세가가 동반 하락한 가운데 월세만 지속 상승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상승 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2분기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는 전 분기 대비 0.47% 하락했으며, 전세가격도 0.34% 내렸다.
그러나 월세는 0.26% 올랐다.
매매가를 보면 전국은 하락 폭이 전 분기와 같지만, 서울(-0.26%→-0.13%)은 낙폭이 축소됐다.
주거 여건이 양호한 지역의 오피스텔 수요 증가로 투자 심리가 소폭 회복되면서 매매가 하락 폭이 줄어든 것으로 부동산원은 해석했다.
다만 인천(-0.67%)은 신축 오피스텔 공급으로 상대적으로 노후화된 오피스텔 가격이 하락하며 전 분기(-0.45%)보다 하락 폭이 확대됐고, 경기도(-0.61%)도 가격 하락 장기화와 금리 부담 등으로 투자 수요가 감소하며 하락 폭이 0.03%포인트 커졌다.
지방(-0.68%)도 공급이 많은 대구, 광주를 중심으로 높은 하락세를 나타내며 전체적으로 하락 폭이 커졌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4/07/15/AKR20240715076200003_01_i.jpg)
전세가의 경우 서울은 0.12% 내리며 1분기(-0.17%)보다 낙폭이 줄었지만, 인천(-0.34%→-0.59%), 경기(-0.18%→-0.32%)는 낙폭이 커졌다.
서울은 아파트 전세가 상승으로 인한 대체 수요가 나타나며 낙폭이 다소 줄어든 것으로 부동산원은 해석했다.
그러나 매매시장과 마찬가지로 인천은 노후화된 오피스텔에 대한 수요 감소가, 경기도는 전세사기 및 역전세 이슈 속에 매물 적체가 장기화한 것이 낙폭이 확대된 배경으로 지목된다.
지방(-0.55%)도 낙폭이 전 분기보다 0.02%포인트 증가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4/07/15/AKR20240715076200003_02_i.jpg)
월세가격은 전국이 0.26% 오르며 전 분기(0.22%)보다 상승 폭이 확대된 가운데 특히 서울은 0.40%에서 0.45%로, 수도권은 0.31%에서 0.37%로 상승 폭을 키웠다.
다만 지방(-0.18%)은 부산과 세종의 하락 폭 축소에도 대구의 하락 폭이 급증하며 전 분기(-0.14%) 대비 하락 폭이 확대됐다.
전세사기 여파로 비아파트에 대한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한 것이 월세 상승을 부추기는 것으로 해석된다.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에 월세로 눈을 돌리는 수요가 늘어났다는 것이 전문가들 해석이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4/07/15/AKR20240715076200003_03_i.jpg)
이에 전국 오피스텔의 월별 전월세 전환율(전세보증금을 1년치 월세로 환산하는 비율)은 6.12%를 기록했다.
서울은 5.62%였으나, 수도권(6.06%), 지방(6.79%) 모두 6%대로 나타났다.
전국 오피스텔의 수익률은 5.35%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대전 7.65%, 세종 6.32%, 광주 6.26% 순으로 높았으며, 서울이 4.84%로 가장 낮았다.
luc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