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북러 회담] 푸틴 "소련군, 北위해 싸워" 언급뒤 협정 체결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북러 회담] 푸틴 "소련군, 北위해 싸워" 언급뒤 협정 체결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북러 회담] 푸틴 "소련군, 北위해 싸워" 언급뒤 협정 체결
전사 소련군 추모 해방탑에도 헌화·참배


(모스크바=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하기에 앞서 북한에서 벌어진 전쟁에 옛 소련군이 참전했었다고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김 위원장과 확대 정상회담 시작 전 모두발언에서 "러시아와 북한의 우정은 혹독한 시련을 겪으며 형성됐다"며 1945년과 1950∼1953년 소련군이 북한을 위해 싸웠다고 말했다.
그는 "1945년 소련 군인은 북한 애국자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일본 침략자들로부터 해방을 위해 싸웠고, 1950∼1953년(6·25전쟁)에는 우리 조종사들이 수 만번의 전투 비행을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 선대의 위업은 오늘날 양국 관계 발전의 좋은 토대가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푸틴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마치고 김 위원장과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서명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 협정에 러시아와 북한 중 한쪽이 공격당하면 '상호 지원'을 제공한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직접 밝혔다.
이 내용을 두고 1961년 소련과 북한이 체결한 '조·소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조약(조·소 동맹조약)'에 포함됐던 '유사시 자동군사개입 조항'이 사실상 부활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푸틴 대통령은 상호 지원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채 과거 소련군의 '전공'을 부각하는 일정을 치렀다.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마치고 김 위원장과 함께 평양 모란봉 해방탑을 찾았다.
해방탑은 1945년 북한 지역에서 일본군을 몰아내다가 전사한 소련군을 추모하는 상징물이다. 당시 전투에서 약 4만7천명의 소련군이 전사하거나 다쳤다고 타스 통신은 설명했다.
공개된 영상을 보면 김 위원장과 나란히 선 푸틴 대통령은 홀로 화환으로 걸어가 러시아 국기 색깔로 된 삼색 추모 리본을 편 뒤 잠시 고개를 숙여 참배했다.
푸틴 대통령은 24년 전인 2000년 방북 때도 이곳에 헌화했다.
abbi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