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69.30

  • 22.75
  • 0.81%
코스닥

843.70

  • 1.58
  • 0.19%
1/3

중국 정부 "자동차업계, 자국산 반도체 비중 25%로 높여라"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중국 정부 "자동차업계, 자국산 반도체 비중 25%로 높여라"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중국 정부 "자동차업계, 자국산 반도체 비중 25%로 높여라"
가이드라인 제시…수년 내 외국산 반도체 완전 대체 목표


(서울=연합뉴스) 주종국 기자 = 중국 정부가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에 자국산 반도체 사용 비중을 내년까지 최고 25%까지 높이도록 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가이드라인은 아직 의무 사항은 아니지만 준수업체들에 정부 차원의 각종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 산업정보기술부는 상하이자동차그룹(SAIC)과 비야디(BYD), 동풍자동차, 광저우자동차그룹(GAC), FAW 등 자동차 제조사들에 내년까지 자동차 관련 반도체 국내 조달 비중을 20~25%로 늘리도록 요청했다.
조달 비중은 더 높아질 전망이며 최종적으로는 앞으로 몇 년 내로 외국산 자동차 반도체를 모두 중국산으로 대체하는 게 목표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런 가이드라인은 중국이 미국과 반도체 산업을 두고 갈등을 빚으면서 자국 내에 반도체 공급망 구축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나왔다.
중국에서는 1년에 전 세계 자동차 판매량의 약 3분의 1인 3천만대 정도가 팔리지만 중국산 반도체 조달 비중은 약 10%에 불과하다.
소식통은 정부가 이 가이드라인을 강제하지는 않고 있지만 여러 보상이나 신용 분야 혜택을 감안하면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이를 따르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20~25% 조달 비중은 자동차 한 대당 중국산 반도체 비중과 기업 총조달 비용에서 중국산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율을 모두 의미한다.
중국은 또 전자제어장치와 디스플레이, 충전 공급장치 등 기타 전자부품의 중국산 비중도 늘리려 하고 있다고 일본 경제매체 닛케이 아시아가 전했다.
각종 센서나 마이크로컨트롤러, 전원 관리 등 자동차에 쓰이는 대부분의 반도체는 최첨단 제품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중국의 반도체 제조업체도 이번 가이드라인으로 혜택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중국 업체들은 그동안 자동차 관련 반도체를 적극 생산하지 않아 왔다. 대신 인피니언,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NXP, 르네사스 등 서구와 일본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했다.
전기차로의 전환도 중국 내 반도체 업계에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메르카토르 중국연구소의 안토니아 흐마이디 수석 애널리스트는 "전기차 업계는 아직 공급망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이 신규업체가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좋은 시기"라고 말했다.
satw@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