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34.69

  • 33.45
  • 1.34%
코스닥

697.85

  • 20.84
  • 3.08%
1/3

[尹정부 2년] ⑤ 전국 14곳 첨단·소부장 특화단지…되살아난 원전 생태계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尹정부 2년] ⑤ 전국 14곳 첨단·소부장 특화단지…되살아난 원전 생태계
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 등 국가첨단전략산업·소부장 특화단지 지정
용인·평택,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거점으로…국내 이차전지 밸류체인 완성
건설재개로 부활한 신한울 3·4호기…폴란드·체코 원전수출 성공할까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집권 3년 차를 맞은 윤석열 정부의 산업정책은 전국 14곳에 걸친 국가첨단·소부장(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지정과 원전 생태계 복원에 방점이 찍혀 있다.
에너지를 100% 수입해 제조업 기반의 수출로 성장해온 한국 경제가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주력인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등의 초격차 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다.
이 같은 첨단기술 산업에는 막대한 양의 전력이 끊김이 없이 공급돼야 한다.
이에 따라 정부는 저탄소 에너지원이자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극복할 수 있는 원전 생태계 되살리기에 주력해왔다.



◇ 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전국 14곳에 그려진 특화단지 전략지도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7월 전국 14곳에 이르는 국가첨단전략산업 및 소부장 특화단지를 지정했다.
미래 먹거리인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전기차 등 첨단산업에서 초격차를 확보하려면 세제·예산 지원과 인허가 신속 처리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갈수록 글로벌 기술 경쟁이 심화하고 각국이 경제 블록화·요새화를 강화하면서 기업의 경쟁력을 뒷받침할 국가 차원의 '전략지도'가 절실하다는 인식도 밑에 깔렸다.
특화단지는 경기, 충남·충북, 전북, 광주, 경북, 대구, 울산, 부산 등에 골고루 펼쳐져 있다.
정부는 첨단 특화단지로 ▲ 경기 용인·평택(메모리·시스템 반도체) ▲ 경북 구미(반도체 소재) ▲ 충남 천안·아산(차세대 디스플레이) ▲ 충북 청주(배터리 셀) ▲ 경북 포항(양극재) ▲ 전북 새만금(원료) ▲ 울산(셀, 소재) 등을 정했다.
소부장 특화단지로는 ▲ 충북 오송(바이오,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 광주(미래차, 자율주행차 부품) ▲ 경기 안성(반도체, 반도체 장비) ▲ 대구(미래차, 전기차 모터) ▲ 부산(반도체, 전력반도체) 등을 지정했다.



◇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완벽한 이차전지 밸류체인
이 가운데 경기 용인·평택은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거점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투입될 민간 투자는 총 562조원에 달한다.
용인은 오는 2042년까지 단일 단지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가 조성되는 곳이다. 이곳에만 300조원의 대규모 신규 투자가 예정돼 있다.
구체적으로 용인 남사에 삼성전자의 첨단시스템 반도체 팹 5기, 용인 원삼에 SK하이닉스의 첨단 메모리 반도체 팹 4기, 용인 기흥에 삼성전자의 첨단메모리·시스템 연구개발(R&D) 센터 등이 자리할 예정이다.
이는 현재 가동 중인 이천·화성의 반도체 생산단지와 연계해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전기차 시대와 함께 떠오른 이차전지 밸류체인은 국내에서 전 과정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차전지의 광물 가공부터 소재와 셀 생산, 리사이클링(재활용)까지 전 과정을 전북, 포항, 충북, 울산 등에서 담당한다는 것이다.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 가깝고 물류 인프라가 구축된 전북 새만금에는 전구체 가공과 리사이클링을 위한 집적단지를 새로 만든다. 전구체는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 원가의 70%를 차지한다.
경북 포항은 양극재 생산 거점으로 육성하고, 충북 청주에는 리튬이차전지 셀과 리튬황 전지 생산, 울산에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전지와 리튬인산철(LFP) 전지의 생산 기반을 마련한다.



◇ 부활한 신한울 3·4호…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 목표
정부는 전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원전 건설부터 소부장까지 생태계 전반을 되살리기에 나서면서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을 재개했다.
경북 울진군 신한울 3·4호기는 1천400㎿(메가와트)급 원전 2기를 짓는 사업이다. 이전 정부에서 탈원전 정책에 따라 백지화됐다가, 윤석열 정부 들어 원전의 핵심 기기인 주기기 제작이 본격화됐다.
신한울 3·4호기 계약 규모는 10년간 2조9천억원 규모로, 이외에 펌프, 배관, 케이블 등의 보조 기기 계약도 향후 10년간 2조원 가까이 발주될 예정이다.
정부는 탈원전 정책으로 초토화되다시피 한 원전 생태계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을 목표로 내걸었다.
2022년 이집트 엘다바 원전 건설 사업이 정부 출범 이후 첫 원전 수주 성과로 나온 데 이어 지난해에는 루마니아 원전 삼중수소제거설비(TRF) 수주에도 성공했다.
향후 정부가 폴란드와 체코로의 원전 수출에 성공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국영 폴란드전력공사(PGE)는 민영 발전사인 제팍(ZE PAK)과 함께 한국수력원자력과 협력해 퐁트누프 지역에 한국형 가압경수로(APR1400) 2∼4기를 건설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최소 30조원대로 추산되는 체코 원전 수주전에서는 프랑스전력공사(EDF)와 맞붙었으며, 이르면 다음 달 결과가 나온다.
wis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