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 생산차질 우려…"웨이퍼·D램 생산 큰 영향없어" 평가도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 평가…KB증권 "장기적으로 韓 반사이익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25년 만의 강진이 대만 반도체업계에 미칠 여파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대만의 웨이퍼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와 D램 생산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현지 시장조사기관의 평가가 나왔다.
5일 대만 시장조사기관인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대만 웨이퍼 파운드리 공장 대다수는 상대적으로 흔들림이 심하지 않았던 진도 4 지역에 있고, 대만의 강력한 내진 기준 덕분에 체감 진도를 1∼2 정도 줄일 수 있었던 만큼 조속한 조업 재개가 가능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지진에 따른 긴급 가동 중단 과정에서 웨이퍼가 파손된 일부 사례가 있지만, 성숙단계 공장들의 설비 가동률이 50∼80%인 점은 손실이 빠르게 복구됐다는 의미라고 트렌드포스는 판단했다.
TSMC의 웨이퍼 파운드리 공장도 대부분 진도 4 지역에 있으며, 유일하게 팹(fab) 12가 용수 배관 파손으로 장비 피해를 입었지만 해당 부문은 아직 대량생산 단계가 아닌 2나노(㎚·10억분의 1m) 공정에 주로 영향을 끼친 것으로 조사됐다.
트렌드포스 측은 이에 따른 영향이 단기적일 것으로 보면서 새로운 장비 구입 등에 따른 설비투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첨단공정인 TSMC의 3∼5나노 반도체 공장은 직원들을 대피시키지 않았고 지진 발생 6∼8시간 만에 가동률을 90% 이상으로 복구했으며, 지진 여파가 관리 가능한 정도로 제한적 수준인 것으로 평가됐다.
TSMC의 첨단 패키징 공정 '칩 온 웨이퍼 온 서브스트레이트'(CoWos) 공장들은 대피 이후 곧바로 조업을 재개했으며, 일부 웨이퍼 손상이 있었지만 예비시설 덕분에 공장 가동에는 영향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D램 부문의 경우 반도체기업 난야와 마이크론의 공장이 영향을 받았지만 며칠 내에 완전히 회복될 전망이라고 트렌드포스는 내다봤다.
트렌드포스는 규모 7.2(미국·유럽당국 발표는 7.4) 강진이 발생한 당일인 3일에도 D램과 파운드리 생산 라인에 대한 초기 조사 결과 최소 수준의 피해가 확인됐다고 밝힌 바 있다.
지진은 동부 지역에서 발생했지만 D램 공장은 주로 북부와 타이베이 부근, 파운드리 공장은 북부·중부·남부에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최근 몇주 사이 D램과 낸드 플래시메모리 현물 시장에서 수요 둔화 조짐이 있었던 만큼, 난야·마이크론의 공장 가동 중단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공급 덕분에 가격 변동성이 크지 않았다고 밝혔다.
단기적으로 D램 현물 가격이 소폭 오를 수 있겠지만 지속 여부는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씨티그룹 애널리스트들도 이번 지진이 TSMC 조업에 미친 영향에 대해 "관리 가능하다"고 평가했고, 제프리스파이낸셜그룹 애널리스트들은 피해에 대해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앞서 TSMC 측은 전날 밤 "웨이퍼 공장 복원율이 이미 80%를 넘겼다"면서 타이난 팹 18 등 신설 웨이퍼공장은 곧 완전히 복원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일부 공장에서 소수의 설비가 피해를 입어 일부 생산 라인에 영향이 있지만, 극자외선(EUV) 리소그래피(Lithography·석판인쇄) 장비를 비롯한 주요 장비는 피해가 없었다는 것이다.
TSMC 측은 진도가 비교적 심했던 지역에 위치한 일부 라인은 자동화생산 회복에 비교적 긴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기도 했다. 조업 중단에 따른 추정 손실액 등은 아직 내놓지 않고 있다.
앞서 대만 2위 파운드리 업체인 유나이티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UMC)도 이번 지진 여파가 크지 않다면서 정상 조업을 재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TSMC 계열사인 뱅가드국제반도체그룹(VIS)은 4일 정오 기준 전체 설비의 80%를 가동하고 있으며, 점진적으로 조업을 재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반도체 제조 공정에 정밀함이 요구되는 만큼, 건물이 온전하더라도 실리콘 웨이퍼 결함 등 눈에 잘 보이지 않는 피해 가능성은 여전한 상황이다.
또 가동 중단이 일시적이었다 하더라도 조업을 재개하려면 시간을 들여 작업해야 하는 만큼 이 과정에서 수천만 달러의 비용과 더 큰 파급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투자은행 바클리 애널리스트들은 잠깐의 조업 중단이라도 수주일간 진공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첨단 반도체 생산 공정에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고 봤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이번 지진에 따른 파운드리 생산 차질은 대만에 글로벌 파운드리 생산의 69%가 집중된 산업 구조, 즉 단일 공급망 리스크를 부각하는 결정적 계기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국 반도체 생태계는 메모리와 파운드리 공급망 다변화의 최적 대안으로 부상해 장기적으로 반사이익이 예상된다"고 말하기도 했다.
대만 증시가 휴장인 가운데 미국 뉴욕증시에서 3일(현지시간) 1.27% 상승했던 TSMC 주가는 4일 1.65% 하락 마감했다.
bs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