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개월만에 가장 낮아…친환경차 감소폭 더 커
생산·내수도 함께 줄어…전기차 성장 둔화에 설연휴 영향도
![](http://img.yna.co.kr/photo/yna/YH/2024/03/18/PYH2024031805000006500_P2.jpg)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지난 2월 자동차 수출, 생산, 내수 판매가 작년 동월과 전달 대비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시장에서 전기차 판매 증가세가 다소 주춤해진 가운데 지난 2월 설 연휴로 인한 생산과 선적 활동 감소 등이 영향을 끼친 결과로 분석된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월간 자동차 산업 동향 자료에 따르면 2월 자동차 수출은 51억6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7.8% 감소했다. 전월 대비로는 17% 줄었다.
전기차, 하이브리드차를 포함한 친환경차 수출은 17억1천만달러로 작년 동월과 전월 대비 각각 15.3%, 17.6% 줄어 전체 자동차 대비 감소 폭이 더 컸다.
지역별 수출액을 보면 주력 시장인 북미에서는 작년 동월 대비 1.0% 늘었지만, 유럽연합(-23.1%), 아시아(-0.9%), 중동(-30.0%), 중남미(-17.5%), 오세아니아(-8.2%) 등 대부분 지역에서 줄었다.
전월 대비로는 북미 수출도 24.6% 감소했다.
지난해 자동차 수출액은 709억달러로 역대 최고를 달성하면서 반도체 시장 불황 속에서 한국 수출을 떠받치는 역할을 했다.
다만 월 자동차 수출액은 작년 11월 65억3천만달러를 기록하고 나서 올해 2월 51억6천만달러까지 석 달 연속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 2월 자동차 수출액은 2023년 1월(49억8천만달러) 이후 1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친환경차 수출액은 2022년 11월 이후 15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4/03/19/AKR20240319055200003_03_i.jpg)
차량 대수 기준으로도 자동차 수출은 감소세다.
지난 2월 수출 자동차는 19만8천653대로 작년 동월과 전년 대비 각각 11.0%, 18.3% 줄었다.
이 중 순수 전기차 수출은 2만4천318대로 작년보다는 20.7%, 전월보다는 19.9% 줄어 감소 폭이 더 컸다.
수출 상위 차종은 코나(1만8천100대), 트렉스(1만6천18대), 트레일블레이저(1만3천887대), 투싼(1만3천311대), 아반떼(1만1천884대) 등이었다.
생산과 내수 판매도 동반 감소세를 나타냈다.
지난 2월 국내 자동차 생산은 주요 기업의 생산 시설 공사, 2월 설 연휴 등으로 작년 동월보다 13.6%, 전월보다 16.2% 감소한 30만459대를 기록했다.
현대차와 기아가 각각 12만9천877대, 12만19대를 생산해 작년보다 생산량이 19.2%, 13.7% 줄었다.
한국GM은 트랙스 크로스오버 양산에 따라 20.4%, KG모빌리티(KGM)은 티볼리, 렉스턴스포츠 생산 증가로 5.2% 생산량이 늘었다.
지난 2월 내수 판매는 11만5천753대로 작년보다 21.2% 감소했다.
브랜드별로는 현대차와 기아의 판매가 각각 4만7천653대, 4만4천76대로 작년 동월보다 26.7%, 12.0% 감소했다.
주요 완성차 업체 중에서는 한국GM과 타타대우만 1천987대(77.9%), 401대(5.2%)를 팔아 작년 같은 달보다 판매량이 증가했다.
내수 판매 상위 모델은 쏘렌토(8천671대), 카니발(7천989대), 싼타페(7천413대), 스포티지(6천991대), GV80(4천652대) 등 순이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4/03/19/AKR20240319055200003_04_i.jpg)
차종별로는 친환경차의 내수 판매는 4만102대로 작년보다는 11.7% 감소했고, 전월보다는 5.8% 늘어났다.
산업부는 "2월 자동차 수출은 설 연휴에 따른 수출 선적일 감소, 기저 효과, 미래차 전환을 위한 생산시설 정비 등으로 감소했고, 1∼2월 누계 기준으로 자동차 수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며 "전기차 보조금 지급 개시 등에 따라 내수 감소세는 회복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