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 보고서…"성장목표 달성, 신품질 생산력에도 은행이 핵심 역할"
![](http://img.yna.co.kr/etc/inner/KR/2024/02/29/AKR20240229139800009_01_i.jpg)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중국이 연례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기간에 부동산 문제를 주요 의제로 논의하고 향후 은행을 중심으로 한 문제 해결 시도를 강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3일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인텔리전스(BI)에 따르면 마빈 천 선임 전략가 등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좀처럼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부동산 경기 둔화 대응과 주택시장 심리 안정화 등이 주요 의제가 될 수 있다고 봤다.
중국 당국이 강조해온 보장형 주택(저가 서민 주택)과 성중촌(城中村·도시 내 낙후지역) 개발 등이 논의될 가능성도 거론된다는 것이다.
앞서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지난해 말 중국개발은행 등 3곳을 통해 3천500억위안(약 64조5천억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하기로 한 바 있는데, 해당 자금이 이들 사업에 투입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프랜시스 찬 BI 선임 애널리스트는 별도 보고서를 통해 양회 이후 중국 경제를 되살리는 과정에서 중국공상은행(ICBC)을 비롯한 대형 은행들의 책임이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부동산 문제와 '지방정부 자금 조달기관'(LGFV) 등 '시한폭탄'을 해체하는 한편 최근 강조되는 '신품질 생산력'(新質生産力) 목표와 5% 내외로 예상되는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 달성 등에 있어서 은행이 핵심 역할을 맡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 당국은 진행 중인 공사를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사업들에는 자금을 지원하도록 시중은행들에 이미 요구한 상태다.
지난달 20일 기준 화이트리스트에는 총 5천349건의 프로젝트가 포함됐고, 이 가운데 162개 프로젝트가 총 294억3천만위안(약 5조4천억원)을 대출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4/02/29/AKR20240229139800009_02_i.jpg)
과거 중국 지방정부들은 LGFV로 불리는 특수법인을 통해 공식 통계에는 잡히지 않는 음성적인 부채를 조달해 건설사업을 진행한 경우가 많았는데,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늘어난 LGFV 문제 해결에도 은행들의 역할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챈 애널리스트는 BI 자체 추산 결과 중국 4대 국유은행으로 불리는 공상은행·농업은행·중국은행·건설은행의 LGFV 익스포저(위험노출액)가 6조2천억 위안(약 1천146조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이어 "'LGFV 부채에 대해 낮은 이자로 상환을 연장해주라'는 중국 당국의 요구에 은행들이 귀 기울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대출 부담을 낮추고 시중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인민은행이 주요 정책 금리를 인하하는 등 완화적 통화정책을 이어갈 것으로 봤다.
그는 그러면서도 은행의 정책 수단적 성격이 강해질 경우 장기적으로 '저주'가 될 수 있다며 부작용을 경고하기도 했다.
아울러 BI 보고서는 최근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 개발 경쟁이 치열한 상황을 반영해 이번 양회에서는 기술 혁신이 주요 의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혁신 친화적인 법안 등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이 내수 소비 진작에 신경 쓰고 있는 만큼 가전제품 소비와 외식·여행 촉진 등도 양회 기간에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달 외식·여행 등 서비스 부문이 올해 내수 소비를 주도할 필요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아다 리 선임 애널리스트 등은 "사람들의 이동을 장려하는 정책이 외식·여행 소비를 진작할 수 있다"면서도 "백색가전 소비를 장려하는 추가 조치가 나온다고 해도 수요를 되살리기에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bs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