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34.34

  • 33.10
  • 1.32%
코스닥

696.83

  • 19.82
  • 2.93%
1/3

김여정 담화로 다시 부각된 '일본인 납치' 문제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김여정 담화로 다시 부각된 '일본인 납치' 문제
北 "이미 해결됐다" vs 日 "전혀 받아들일 수 없다"
향후 일북관계 추이 주목…日, 핵·미사일 문제도 중시



(서울=연합뉴스) 이우탁 기자 =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15일 일본인 납치 문제가 이미 해결된 사안이며, 더 이상 문제를 삼지 않는다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평양을 방문하는 날이 올 수도 있다"는 담화를 발표했다.
담화는 '개인적인 견해'이며 북한의 공식 입장이 아니라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16일 오전 정례 기자회견에서 김여정의 담화 발표를 '유의'하고 있다면서도 일본인 납치 문제가 이미 해결됐다는 주장을 "전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분명히 했다.
이에 따라 일본인 납치 문제가 향후 북일 관계의 흐름에 중대한 변수로 떠올랐다.


일본인 납치문제는 일본에서는 '북조선(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문제'라고 부르는데, 1970-80년대 일본 서부 해안을 중심으로 발생한 원인불명의 여러 실종사건을 통칭한다.
당시 일본 경찰당국은 행방불명의 원인을 규명하지 못했으나 이후 망명한 북한 공작원의 증언 등을 통해 북한과 관련된 일임이 드러났다. 특히 1987년 대한항공 858편 폭파사건의 주범인 김현희는 북한에 '이은혜'라고 불리는 일본인 여선생이 있다는 증언을 했다.
일본 정부는 1991년부터 북한을 향해 지속적으로 이 문제를 제기했지만 북한은 부인했다.
이 문제가 다시 부각된 것은 2002년 9월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일본 총리가 전격적으로 평양을 방문해 김정일을 만나 1차 북일정상회담을 가지면서였다. 이 회담에서 김정일은 공식적으로 북한이 납치에 관여했음을 시인한 것이다.
김정일은 사죄와 함께 재발방지를 약속했고, 그해 10월 북한에 생존해있던 5명의 납치 피해자들이 24년만에 일본에 귀환했다. 2004년 2차 북일정상회담을 통해 납북 피해자 5명의 북한에 남아있는 가족들이 일본으로 입국하기도 했다.
이 문제를 놓고 북한과 일본의 입장은 매우 다르다. 북한은 1,2차 북일 정상회담과 그 이후 진행된 합의이행을 통해 일본인 납치문제가 해결되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납치 피해자가 17명이며, 일본으로 귀환한 5명 이외에 북한에 생존해있을 가능성이 있는지와 관련한 진상규명 요구를 지속적으로 해왔다.
북한은 이미 귀국한 5명 외에 나머지 8명은 북한에서 사망했다고 주장했고, 납치 인원도 13명이라고 강조했다. 일본인 납치자 문제 때마다 관심을 모은 요코타 메구미(1977년 납치 당시 13세)도 사망자 명단에 포함돼있다. 북한측은 메구미가 1993년 1월 병원에 입원했는데, 그해 3월 정신병으로 자살했다고 전했다.


일본인 납치문제를 중시했던 아베 신조 전 총리에 이어 스가 요시히데 전 총리, 그리고 기시다 총리 등은 일본인 납치문제를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일본은 북한이 주장하는 8인의 사망자의 사인(死因)에 부자연사가 많은데다 객관적인 증거가 제시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또 북한에서 보낸 2명 분의 유골은 감정결과 DNA가 일치하지 않았다고 했다. 메구미의 경우도 귀국한 납치피해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1994년에도 생존했었다고 주장했다.
일본과 북한의 입장은 김여정의 담화 발표를 계기로 다시 맞서고 있다. 일본정부는 납치자 문제와 핵·미사일 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한 후 북한과 국교정상회를 도모하겠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lw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