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종전 물밑논의 본격화…'팔레스타인 국가건설' 빅딜 추진
인질석방·휴전 협상 마중물 삼아 '중동 평화회담' 구축 시도
NYT "휴전·PA 개혁·사우디-이스라엘 수교 3개 트랙 논의"
네타냐후 정권이 걸림돌…'두국가 해법' 반대에 진전 힘들 수도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전쟁을 멈추려는 미국과 유럽, 중동 각국이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건설을 골자로 한 '전후구상' 마련을 위한 물밑논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두 달간의 휴전과 인질 석방에 합의하면 이를 마중물 삼아 중동의 화약고로 불리는 양측간 분쟁의 완전 종식을 끌어내겠다는 취지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최소 10개국 최고 당국자들이 가자 전쟁의 종식과 이후 어떻게 이곳이 통치되게 할지와 관련한 일련의 합의를 끌어내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27일(현지시간) 전했다.
이들 간의 논의는 ▲가자지구 내에서의 적대행위 중단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개혁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스라엘의 수교와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수립의 3개 트랙으로 나뉘어 진행되고 있다.
다만, 당장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NYT는 짚었다.
이 매체는 "이런 3가지 절차와 관련해 논의되는 요구사항과 그에 따른 결과는 모두 연결돼 있다"면서 "각 협상마다 큰 난관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문제로는 이스라엘 정부가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건설을 완강히 반대하고 있다는 점이 꼽힌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 지상군이 전쟁을 벌인 지 3개월이 넘었는데도 하마스가 여전히 건재하다는 점도 하마스 축출 후 PA가 가자지구를 다스린다는 미국과 아랍국가들의 구상이 현실화할 수 있을지 의문을 갖게 하는 대목이다.
그런 상황에서도 각국은 종전과 항구적 평화를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쏟아내고 있다.
이중에는 부패하고 무능하다는 비판을 받는 마무드 아바스 PA 수반에게서 신임 총리로 권력을 이전해 PA에 대한 팔레스타인 주민의 신뢰를 되찾고, 가자지구에 아랍 연합군을 주둔시켜 안정을 확보한다는 등의 제안이 포함됐다.
일각에선 PA를 현대화한 업적을 세운 살람 파야드 전 PA 총리나 유엔 주재 팔레스타인 대표를 역임한 나세르 알키드와 등이 PA의 수반이 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에 맞서 아바스 수반은 자신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인물을 후보로 밀고 있다고 한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외무부 장관이 최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지도자들을 잇따라 만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독립국가가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을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전쟁이 끝나면 현재 PA가 관할 중인 요르단강 서안과 하마스가 장악한 가자지구를 일괄 통치할 팔레스타인 정부를 정치인을 배제하고 기술관료로 수립하자는 게 캐머런 장관의 제안이다.
그는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더는 공격하지 않겠다고 약속하고 주변국이 이를 보증하는 한편, 이스라엘은 야히야 신와르를 비롯한 가자지구의 하마스 지도자들의 안전한 출국을 보장하는 방안도 제안했다고 FT는 덧붙였다.
미국은 이스라엘, 이집트, 카타르와 최소 2개월간 교전을 중단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인질석방을 전제로 60일간의 휴전에 합의한 뒤 영구 휴전을 논의하자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 완전 철군, 하마스 지도자들의 해외 출국, PA의 가자지구 접수 등도 거론됐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이를 거부하고 있다.
교착 상태인 협상을 진전시키기 위해 미국은 윌리엄 번스 중앙정보국(CIA) 국장을 추가로 파견, 며칠 내에 이스라엘과 이집트, 카타르 카운터파트와 만나 협의를 진행하도록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AP 통신은 미국 정부 고위 당국자들을 인용, 2개월간의 휴전과 인질 100여명의 석방을 골자로 한 잠정 합의안과 관련해 진전이 있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1단계에서는 하마스가 인질 중 여성과 고령자, 부상자를 석방할 수 있도록 교전을 중단하고, 휴전 후 첫 30일 동안에는 이스라엘 군인과 남성 인질 석방을 위한 세부사항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hwangc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