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시론] 작년 역대급 고용률…청년층·제조업 부진 해소는 과제
(서울=연합뉴스)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가 30만명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천841만6천명으로 전년 대비 32만7천명(1.2%) 늘었다. 정부는 당초 '2023년 경제정책 방향'에서 취업자 수가 10만명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는데 실제 흐름은 이보다 호조세를 보인 셈이다. 그간의 연간 취업자 수 추이를 보면 2019년 30만1천명 늘었다가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에는 21만8천명 감소했고 이듬해 36만9천명 증가세로 전환됐다. 2022년에는 81만6천명 늘어 22년 만의 최대 증가 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작년 취업자 증가세가 2022년보다는 둔화했지만 3년 연속 증가세가 지속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정부에 따르면 15세 이상 고용률은 62.6%로 전년보다 0.5% 포인트 올랐다. 이는 1963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인 15∼64세 고용률도 0.7% 포인트 상승한 69.2%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어려운 대내외 경제 여건 속에서도 전반적인 고용 추이는 긍정적인 성적표를 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연령대별·산업별 세부 내용을 들여다보면 우려스러운 대목도 등장한다. 제조업과 청년층에서의 고용 감소세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4만3천명 줄었다. 2022년 13만명 늘어난 뒤 불과 1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감소 폭은 2020년(-5만3천명) 이후로 가장 크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선 크게 늘었지만 청년층(15∼29세)에선 9만8천명 감소했다. 청년층 고용률은 46.5%로 1년 전보다 0.1% 포인트 하락했다. 결국 작년 고용률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고용의 질'에서 많은 숙제가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 국내 인구 변화와 노동시장의 미래상을 감안한 선제적 대응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대내외 경기 상황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정부는 올해 취업자 증가 폭이 지난해보다 둔화한 23만명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경기 부진 등이 취업자 증가 폭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는 올해도 고용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노동 시장이 보다 안정적인 회복 추세에 접어들도록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전담반(TF) 회의에서 올해 상반기에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중앙정부의 일자리 사업 예산을 작년보다 신속하게 집행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일자리 사업이 올해에 한정될 수도 없고, 미봉책에 그쳐서도 안 될 일이다.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 지원과 투자에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