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3

'5위 교역국' 걸프국과 손잡고 중동 메가프로젝트 기반 닦는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5위 교역국' 걸프국과 손잡고 중동 메가프로젝트 기반 닦는다
中·日에 앞서 중동시장 선점…'관세철폐 +α'로 제조업 육성 협력
한-UAE CEPA 타결 두달만에 협상 마침표…중동·아프리카로 경제지도 확대



(세종·서울=연합뉴스) 차대운 이슬기 기자 = 정부가 걸프협력회의(GCC) 소속 6개국과 한-GCC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으면서 본격적인 중동시장 선점에 나섰다.
GCC는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UAE), 카타르, 오만, 바레인 등 6개국의 협력 기구다.
한국과의 교역 규모로는 중국, 아세안, 미국, 유럽연합(EU)에 이은 5위로, 에너지와 인프라 등 대형 제조업 육성 프로젝트를 계획·진행 중인 전 세계에서 가장 '핫'한 시장이기도 하다.
이번 FTA 체결을 계기로 우리나라가 거대한 덩치를 가진 중동 시장에 경쟁국보다 먼저 뛰어들어 에너지, 바이오, 첨단산업 등을 중심으로 한 '신(新)중동붐'을 일으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아울러 우리나라가 물건을 사고파는 단순 교역 상대국에서 나아가 중동 지역 내 대형 프로젝트에 진출할 투자·협력 파트너로서 입지를 굳힐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 中·日보다 먼저 손잡아…제조업 육성 프로젝트 진출 모색
2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GCC FTA를 통해 향후 자동차, 기계, 무기 등 여러 분야의 관세가 철폐된다.
GCC 주요국의 영화·비디오 배급 서비스, 의료 및 치의료 서비스 등이 개방돼 K-콘텐츠를 포함한 한류 확산이 속도를 낼 수 있는 기반도 마련됐다.
양측은 에너지·자원, 바이오 경제, 첨단산업, 스마트팜, 보건 산업, 시청각 서비스 등 12개 핵심 분야에서는 포괄적인 경제 협력 체계를 갖추기로 약속했다.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이번 한·GCC FTA는 경쟁국인 중국, 일본, 영국 등을 제치고 타결됐다. GCC는 해당국들과는 아직 협상을 진행 중이다.
이슬람 대표국인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 GCC는 그 자체로 거대 시장인 데다, 한국과의 교역 규모에서도 5위를 차지하는 핵심 지역이다. 지난해 기준 무역액은 약 1천26억달러에 달했다.
한국은 GCC로부터 주로 원유, 액화천연가스(LNG), 알루미늄을 포함한 에너지·자원 관련 품목을 사 오고 자동차·부품, 기계류, 무기류 등을 판다.



정부는 이번 FTA 체결을 계기로 주요 교역 품목에 대한 관세 철폐 효과를 누릴 뿐만 아니라, 중동 지역의 대대적인 제조업 육성 프로젝트에 진출할 기회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GCC 6개국은 모두 자국의 제조업 육성을 포함해 '포스트 오일' 분야의 산업 기반을 구축하는 데 적극적이다.
사우디의 '비전 2030', UAE의 '인더스트리 4.0 이니셔티브', '에너지 전략 2050' 등이 대표적으로, 중장기 국가비전을 통해 제조업과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을 추진하는 것이다.
따라서 에너지 인프라, 첨단산업 등의 제조업 강국인 한국이 중국, 일본 등보다 먼저 중동 시장에 뛰어든 뒤 거대 프로젝트 협력의 기반을 닦을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 에너지·자원 협력 명문화…공급망 협력 강화 기대
FTA 본문과 부속서에는 대체·신재생에너지 협력 및 공급 안정화 등의 에너지·자원 협력도 포함됐다. GCC가 FTA에 에너지·자원 협력을 명문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국가 경제개발계획을 통해 정부 주도의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고 에너지 다변화와 기후 위기 대응을 목표로 하는 GCC 국가들의 현실과 맞닿아 있다.
GCC 국가들의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매년 급성장 중이다.
한국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 따르면 2020년 기준 GCC 지역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발주액은 153억3천만달러로, 전년(129억9천만달러)보다 18% 늘어났다.
정부는 "에너지·자원, 바이오경제 등의 분야에서 개별 부속서를 채택함으로써 한국과 GCC 국가 간 해당 분야의 실질 협력과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한-UAE CEPA 타결 두달 만…아프리카까지 협력지도 펼친다
한-GCC FTA 협상은 지난 2008년 7월부터 시작해 3차례 공식 협상 후 2010년 중단됐다. 지난해 재개한 이후에는 5차례 공식 협상이 이뤄졌다.
10여년 간 끌었던 협상에 마침표를 찍게 된 데에는 두 달 전 한·아랍에미리트(UAE)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협상 타결과 윤석열 대통령의 사우디·카타르 국빈 방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0월 중순 체결된 한-UAE CEPA는 자동차·원유 등 주요 수출 품목의 관세 철폐와 함께 에너지·자원, 바이오 경제, 스마트팜, 헬스케어, 첨단산업 등 5대 핵심 분야에서의 협력을 골자로 한다.
협상 실무팀에 따르면 사우디·카타르 국빈 방문을 전후로 서울에서 열린 8차 협상에서 양측의 적극적인 협상 타결 의사가 맞물려 결정적인 진전이 이뤄졌다는 후문이다.
정부는 향후 중동 핵심인 GCC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중동 전역은 물론, 인접한 아프리카 권역까지 경제지도 넓히기에 힘을 쏟는다는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한-GCC FTA를 기반으로 GCC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GCC 인접 중동 국가 및 아프리카 국가들과 FTA 체결도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wis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