딩크족 비중, 2015년 18%→작년 29%…역대 최대
신혼부부 소득 높을수록 평균 자녀 수 적어
![](http://img.yna.co.kr/photo/yna/YH/2023/12/11/PYH2023121109650001300_P2.jpg)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 10쌍 중 3쌍은 맞벌이면서 자녀가 없는 '딩크족'으로 다른 부부 유형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의 '2022년 신혼부부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신고를 한 지 5년이 되지 않은 초혼 신혼부부 81만5천357쌍 가운데 맞벌이를 하면서 자녀가 없는 부부는 23만4천66쌍으로 28.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맞벌이·유자녀 부부(23만2천459쌍·28.5%), 외벌이·유자녀 부부(18만5천155쌍·22.7%), 외벌이·무자녀 부부(12만6천531쌍·15.5%) 등의 순이었다.
초혼 신혼부부 중 딩크족은 2015년에는 21만2천733쌍으로 18.0%를 차지하는 데 그쳤다. 외벌이·유자녀 부부(40만9천14쌍·34.7%)와 맞벌이·유자녀 부부(29만2천826쌍·24.8%)보다 적었다.
그러나 딩크족 비중은 2018년 21.7%, 2020년 25.8% 등으로 꾸준히 늘더니 지난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반면 2015년에 가장 흔한 신혼부부 유형이었던 외벌이·유자녀 부부 비중은 2018년 30.0%, 2020년 26.2% 등으로 꾸준히 감소했다.
딩크족 비중은 2021년 27.7%로 외벌이·유자녀 비중(24.3%)을 처음 역전했다.
![](http://img.yna.co.kr/etc/graphic/YH/2023/12/18/GYH2023121800020004400_P2.jpg)
[표] 맞벌이 여부 및 자녀 유무별 초혼 신혼부부 추이
(단위: 쌍)
┌────┬─────┬────┬────┬────┬────┬────┐
│ 시점 │ 합계 │ 맞벌이 │ 맞벌이 │ 외벌이 │ 외벌이 │ 기타* │
││ │ 무자녀 │ 유자녀 │ 무자녀 │ 유자녀 ││
├────┼─────┼────┼────┼────┼────┼────┤
│ 2015 │ 1,179,006│ 212,733│ 292,826│ 174,546│ 409,014│ 89,887│
│├─────┼────┼────┼────┼────┼────┤
││100.0%│ 18.0%│ 24.8%│ 14.8%│ 34.7%│7.6%│
├────┼─────┼────┼────┼────┼────┼────┤
│ 2016 │ 1,151,131│ 216,264│ 295,839│ 170,042│ 380,694│ 88,292│
│├─────┼────┼────┼────┼────┼────┤
││100.0%│ 18.8%│ 25.7%│ 14.8%│ 33.1%│7.7%│
├────┼─────┼────┼────┼────┼────┼────┤
│ 2017 │ 1,103,270│ 214,168│ 280,759│ 167,936│ 356,653│ 83,754│
│├─────┼────┼────┼────┼────┼────┤
││100.0%│ 19.4%│ 25.4%│ 15.2%│ 32.3%│7.6%│
├────┼─────┼────┼────┼────┼────┼────┤
│ 2018 │ 1,052,352│ 228,474│ 271,842│ 164,935│ 315,933│ 71,168│
│├─────┼────┼────┼────┼────┼────┤
││100.0%│ 21.7%│ 25.8%│ 15.7%│ 30.0%│6.8%│
├────┼─────┼────┼────┼────┼────┼────┤
│ 2019 │ 998,365│ 233,671│ 256,736│ 161,615│ 280,461│ 65,882│
│├─────┼────┼────┼────┼────┼────┤
││100.0%│ 23.4%│ 25.7%│ 16.2%│ 28.1%│6.6%│
├────┼─────┼────┼────┼────┼────┼────┤
│ 2020 │ 938,080│ 242,124│ 245,299│ 152,717│ 245,816│ 52,124│
│├─────┼────┼────┼────┼────┼────┤
││100.0%│ 25.8%│ 26.1%│ 16.3%│ 26.2%│5.6%│
├────┼─────┼────┼────┼────┼────┼────┤
│ 2021 │ 871,428│ 241,004│ 237,036│ 138,421│ 211,678│ 43,289│
│├─────┼────┼────┼────┼────┼────┤
││100.0%│ 27.7%│ 27.2%│ 15.9%│ 24.3%│5.0%│
├────┼─────┼────┼────┼────┼────┼────┤
│ 2022 │ 815,357│ 234,066│ 232,459│ 126,531│ 185,155│ 37,146│
│├─────┼────┼────┼────┼────┼────┤
││100.0%│ 28.7%│ 28.5%│ 15.5%│ 22.7%│4.6%│
└────┴─────┴────┴────┴────┴────┴────┘
* 맞벌이 여부 미상, 무직, 가사 등
※ 자료: 통계청 신혼부부통계
이런 현상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늘어나는 가운데 자녀를 낳지 않아도 괜찮다는 인식이 확산한 결과로 풀이된다.
통계청의 한국의 사회동향 2023 보고서에 따르면 20∼30대에서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2015년 27.7%에서 2020년 44.1%로 높아졌다.
자녀를 가져도 출산 시기는 점점 늦춰지는 중이다.
결혼생활 기간별로 보면 결혼생활이 5년 이상일 때 첫째아를 낳은 비중이 2012년 5.3%였으나, 지난해 11.5%로 2배로 뛰었다. 결혼생활이 5년 미만인 신혼 때 자녀를 갖지 않은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3/02/23/PYH2023022315230001300_P2.jpg)
맞벌이로 소득은 높지만, 자녀를 갖지 않은 부부가 증가하면서 초혼 신혼부부는 소득이 높을수록 평균 자녀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득 구간별 평균 자녀 수를 보면 연 소득이 1천만원 미만일 때 자녀 수는 0.77명이었다. 1천만∼3천만원 미만은 0.71명, 3천만∼5천만원 미만은 0.72명, 5천만원∼7천만원 미만은 0.66명, 7천만∼1억원 미만은 0.55명, 1억원 이상은 0.57명이었다.
지난해 맞벌이 부부의 평균 소득은 8천433만원으로 외벌이(4천994만원)의 1.7배였다.
encounter2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