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북한인권결의안에 '중국책임' 문구 명시 추진할 것"
![](http://img.yna.co.kr/etc/inner/KR/2023/11/07/AKR20231107013900072_01_i.jpg)
(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 = 북한 외교관 출신인 국민의힘 태영호 의원은 유엔의 북한인권결의안에 '탈북자 북송은 중국의 책임'이라는 문구가 명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제 북송 피해자 가족 등이 결성한 '탈북민 강제 북송 비상대책위원회'와 함께 미국을 방문 중인 태 의원은 6일(현지시간) 뉴욕 특파원들과 만나 "강제 북송의 책임을 져야 할 나라는 중국"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태 의원은 유엔 상임이사국인 중국의 책임을 북한인권결의안에서 언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면서도 "시도조차 안 하는 것은 더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제사회가 중국의 책임 문제에 대해 모두 침묵한다면 중국은 계속 오만하게 나갈 것"이라고 지적했다.
태 의원과 함께 미국을 방문한 김태훈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한변) 명예회장도 "중국이 스스로 부끄럽게 생각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태 의원은 간담회에 앞서 토머스 암브러스터 주유엔 미국 차석대사를 면담하고 탈북자 북송에 대한 중국 책임 문제를 언급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11/07/AKR20231107013900072_02_i.jpg)
한편 탈북자 강제 북송 비상대책위원회는 인권단체 관계자 등과 이날 오후 뉴욕 맨해튼의 북한대표부 앞에서 탈북자 북송과 금지 등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강제 북송자들의 사진과 함께 이들이 북한에서 겪게 될 각종 고문 등을 묘사한 플래카드를 펼쳐 들고 국제사회의 관심을 호소했다.
시위 참가자들은 탈북자 북송 및 처벌과 관련해 중국 공산당 지도부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제소해야 한다는 구호를 외쳤다.
태 의원과 탈북자 강제 북송 비상대책위원회는 7일에는 워싱턴DC로 이동해 줄리 터너 미국 국무부 북한 인권 특사 등을 만날 계획이다.
kom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