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 = 일본 정부가 열도의 삼나무를 대거 베어 없애기로 했다.
매년 봄철 일본인들을 괴롭히는 꽃가루 알레르기(화분증)에 대한 대책으로, 10년간 전국 삼나무 인공림 면적의 20%를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10/11/AKR20231011123800073_01_i.jpg)
교도통신과 NHK방송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11일 기시다 후미오 총리 주재로 관계 각료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화분증 종합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앞으로 10년간 인공림의 삼나무를 20%가량 벌채나 수종 교체 등을 통해 줄여나가 30년 뒤에는 꽃가루 발생량을 절반 수준으로 줄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도쿄나 오사카 등 도시 주변 인공림을 올해 안에 중점 구역으로 설정, 우선적으로 벌채 작업을 벌여나갈 예정이다.
일본 정부가 화분증 대책으로 삼나무 벌채에 나서는 이유는 일본 내 대표적인 화분증 유발 물질로 삼나무 꽃가루가 지목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나무는 원래 일본 고유 수목이지만 태평양종전 후 황폐해진 자연에 목재 등 경제성이 높은 삼나무를 인공적으로 대거 심으면서 크게 늘어났다.
게다가 최근에는 가격 경쟁력이 높은 해외 목재가 해외에서 대거 수입되면서 과거처럼 목재용으로 삼나무를 벌채하는 경우도 줄어 자연적인 감소를 기대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10/11/AKR20231011123800073_02_i.jpg)
일본 임야청(산림청에 해당) 통계를 보면 지난 2017년 현재 일본 열도의 전체 인공림 면적(1천20만ha) 중 44%를 삼나무가 차지하고 있다.
문제는 삼나무 꽃가루가 알레르기를 일으키면서 갈수록 많은 일본인들을 괴롭히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에서는 매년 봄철 재채기, 콧물, 눈 충혈 등의 증상을 보이는 알레르기 환자를 쉽게 볼 수 있다.
일본이비인후과학회지에 실린 한 조사 결과에서는 화분증 환자 비율이 1998년 19.6%에서 2019년 42.5%로 늘었다는 추정도 제시된 바 있다.
ev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