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35.01

  • 33.77
  • 1.35%
코스닥

697.44

  • 20.43
  • 3.02%
1/3

가계부채 증가세 둔화한다고?…정부·한은과 금융권 간 '온도차'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가계부채 증가세 둔화한다고?…정부·한은과 금융권 간 '온도차'
정부·한은 "대출 증가폭 줄면서 연착륙…관리 가능" 한목소리
은행 "부동산 회복이 대출 증가 요인"…상생금융 영향도 지적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미국발 고금리 충격과 맞물려 국내 가계부채 규모가 위험 수위에 다다랐다는 경고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한국은행은 가계부채 증가세 둔화가 예상되는 만큼 연착륙에 무리가 없다는 입장이다. 대외신인도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금융권 현장에서는 심상치 않은 대출 증가 추이를 우려스럽게 지켜보고 있어 당국과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 당국 "현 정부 들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줄어" 강조
정부는 최근 가계부채 급증세에 대한 시장 우려에도 전반적으로 관리 가능한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는 입장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8일 "금융기관별로 보고서를 다 받으면서 비교적 잘 관리하는 중"이라며 "경제에 주름이 지지 않도록 하면서 소프트랜딩(연착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주요 당국자 간 수시로 만나 가계부채를 비롯한 경제 현황을 점검하고 있으며, 실무급에서는 금융권별로 '거미줄처럼 촘촘한' 소통 채널을 가동하고 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금융당국은 나아가 윤석열 정부 들어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다소 줄어드는 흐름을 만들어낸 데 의미를 부여하는 분위기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5일 기자들과 만나 "2021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5.4% 정도였는데, 지금은 102%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9월 (가계대출) 증가 폭은 전월 대비 1조원가량 줄 것"이라며 "주담대 증가 폭도 전월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통화당국도 일각에서 제기된 '엇박자' 지적을 의식한 듯 동일한 메시지를 발신했다.
유상대 한은 부총재는 지난 5일 기자간담회에서 가계부채가 연착륙하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늘어날 가능성보다는 대출 증가폭이 줄고 GDP 대비 비율도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 올해 전세 반환용 대출 30% 넘게 늘어…관리 부담
반면 일선 금융권은 중단기 가계부채 리스크를 작지 않게 보는 분위기다. 특히 부동산 경기 영향을 주시하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시장 회복으로 집단대출 및 전세대출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가계대출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에는 예년보다 분양 입주 물량이 많아 잔금대출 수요가 늘면서 집단대출이 확대될 것"이라며 "전세대출도 최근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다시 증가세로 전환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KB 부동산에 따르면 지난 6월 전국 주택 거래량은 5만2천592건으로, 올해 1월의 2만5천761건보다 크게 늘었다.
계절적 요인을 고려하더라도 예년보다 가파른 회복세를 나타냈다.
다른 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 회복으로 하반기 주택거래 및 분양 입주 물량이 증가하고 부동산 투자심리가 살아나는 점이 주택 관련 대출 증가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당국의 상생 금융 확대에 따른 금리 인하 정책이 나온다면 소비자 부담이 줄어 가계대출 수요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역전세 위험 가구 비중이 상당히 높아 전세보증금 반환용 주택담보대출 수요도 늘고 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전세보증금 반환용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은 올해 1월 4천717억원에서 9월 6천207억원으로 30% 이상 증가했다.
hanj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