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성장세 둔화 속 '내수 위주' 美 선방…中·독일은 고전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세계 무역 성장률의 둔화 속에 내수 비중이 높은 미국·인도 등은 선방한 방면 수출 비중이 높은 중국·독일은 타격을 입고 있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1일 보도했다.
세계무역기구(WTO)는 올해 세계 상품무역 성장률이 1.7%를 기록, 작년 성장률(2.7%)은 물론 지난 12년 평균(2.6%)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지난 4월 전망한 바 있다.
이러한 가운데 미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은 3분기 미국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연율 5.6%로 전망했고, 인도의 경우 2분기 성장률이 7.8%에 이르렀다.
반면 무역 의존도가 큰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의 경우 2분기 성장률이 0.3%로, 아직 코로나19 확산 이전 수준의 성장을 회복하지 못한 상태다. 중국의 2분기 성장률은 6.3%로, 1분기(4.5%)는 넘어섰지만 시장 전망(7.1%)에는 못 미쳤다.
세계은행(WB) 통계에 따르면 각국 국내총생산(GDP)에서 상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미국·인도가 각각 8.1% 13.4%를 기록, 중국(20%)과 독일(40.7%)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세계 무역의 둔화는 기준금리 인상과 생활비용 상승, 상품 부족 완화에 따른 재고 증가세 등 일시적 요인뿐만 아니라 중국의 성장 둔화와 서방의 보호주의적 산업 정책 기조 고조 등 장기적 변화도 반영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 우크라이나전쟁과 기후변화에 따른 에너지 공급망 및 세계 제조업의 변화도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게다가 각국 GDP에서 제조업의 비중은 중국이 3분의 1에 가깝고 독일은 18% 정도인 반면 미국은 11%에 그치는데,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의 고통이 크다는 게 WSJ 설명이다.
금융비용 증가도 무역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각국 중앙은행의 공격적 기준금리 인상으로 기업들의 보유 현금이 줄어들었고, 이에 따라 투자와 무역을 짓누르고 있다는 것이다.
수요 둔화 및 미국의 대중국 규제, 부동산 경기 불안 속에 중국의 지난달 수출·수입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8.8%, 7.3% 감소한 바 있다. 유럽의 주요 무역항인 함부르크의 상반기 컨테이너 처리량은 전년 동기 대비 12% 가깝게 줄어들었다.
베렌베그은행의 홀게르 슈미딩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블록화로 인해 세계 무역의 글로벌 추세가 약해지고 있으며, 무역의 중심이 상품에서 서비스로 옮겨갈 것으로 봤다.
그러면서 제조업 강국인 중국·독일에 비해 정보기술(IT)과 서비스업에 특화된 미국·인도가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국가별 체감도가 다르더라도 무역 둔화로 인해 전체적인 세계 GDP 성장률이 올해 2.4%에서 내년 2%로 떨어질 전망이며, 이는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2020년을 제외하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저라고 싱크탱크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전했다.
bs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