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정기 예·적금 늘자 6월 통화량 18조원↑…4개월 만에 증가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정기 예·적금 늘자 6월 통화량 18조원↑…4개월 만에 증가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정기 예·적금 늘자 6월 통화량 18조원↑…4개월 만에 증가
정기 예·적금 9.5조원↑…수익증권 6.6조원↑
금전신탁 4.3조원↓…요구불예금 2.9조원↓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은행 정기 예·적금에 돈이 몰리면서 지난 6월 통화량이 18조원 불었다.
한국은행이 11일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6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은 3천803조3천억원으로 5월보다 0.5%(18조원) 늘었다.
M2 통화량은 3월(-0.2%)·4월(-0.4%)·5월(-0.3%) 석 달 연속 감소하다가 4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금, 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금융상품 중에서는 2년 미만 정기 예·적금이 은행의 수신금리 인상 등 영향으로 9조5천억원 늘었다.
예금은행의 순수저축성예금 수신금리(신규 기준)는 지난 5월 연 3.50%에서 6월 3.65%로 올랐다.
수익증권 역시 주식형·채권형 펀드를 중심으로 6조6천억원 증가했다.
요구불예금은 정기 예·적금으로 자금이 이동하면서 2조9천억원 감소했다.
금전신탁도 4조3천억원 줄었다.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법인 자금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에서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5조1천억원, 증권사 등 기타금융기관에서 4천억원 증가했다.
반면 기업에서는 1조2천억원, 기타 부문에서 1천억원이 빠져나갔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식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1천175조9천억원)은 한 달 새 0.3%(3조4천억원) 줄어 2022년 6월 이후 13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식예금이 모두 줄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s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