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2022년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제조업 감소·서비스업 증가
북중교역 일부 재개에 대외교역 증가…제제 전 규모의 23%에 그쳐
![](http://img.yna.co.kr/photo/yna/YH/2023/01/16/PYH2023011600590004200_P2.jpg)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 제재와 북한의 코로나19에 따른 국경통제 지속 등이 겹치면서 지난해 북한 경제가 3년째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갔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0.5% 증가에 그쳐 남한의 30분의 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8일 '2022년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 결과' 보고서에서 유엔의 국민계정체계(SNA) 방법을 적용해 추정한 북한의 성장률 등 각종 통계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31조3천618억원으로 전년(31조4천95억원) 대비 0.2% 감소했다.
이에 따라 북한은 지난 2020년부터 3년째 역성장을 기록하게 됐다.
2015년(-1.1%) 이후 2016년(3.9%)과 2019년(0.4%)을 제외하면 2017년 -3.5%, 2018년 -4.1%, 2020년 -4.5%, 2021년 -0.1%, 2022년 -0.2% 등으로 계속 역성장을 이어오고 있다.
이관교 한은 경제통계국 국민소득총괄팀장은 "북한의 내부 방역통제가 다소 완화되고 대외교역이 중간재를 중심으로 증가했지만, 대북 경제 제재 및 국경 통제 지속, 기상여건 악화 등으로 북한 경제성장률이 3년 연속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7/28/AKR20230728048000002_01_i.jpg)
지난해 북한의 명목 GDP는 36조2천142억원으로 전년(35조8천908억원) 대비 0.9% 증가했다.
지난해 북한의 경제성장을 산업별로 보면 농림어업(-2.1%), 광공업(-1.3%) 등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광공업 중 광업은 석탄 등이 늘어 4.6% 증가했지만, 제조업은 중화학공업(-9.5%)이 크게 줄어 4.6% 감소했다.
반면 건설업은 주거용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2.2%, 서비스업은 운수업을 중심으로 1.0% 증가했고,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수력과 화력발전이 모두 늘어 3.5%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구조를 살펴보면 명목 GDP 대비 농림어업 비중은 23.1%로 전년 대비 0.6%포인트(p), 전기가스수도사업은 2.2%로 2.6%p 각각 하락했다.
반면 제조업(21.0%) 비중이 2.7%p 상승하면서 광공업 비중도 2.1%p 오른 30.5%로 집계됐다.
건설업과 서비스업 비중은 각각 0.6%p와 0.5%p 오른 10.8%와 33.4%였다.
2022년 기준 북한의 국민총소득(명목 GNI)은 36조7천억원으로, 남한(2천193조5천억원)의 60분의 1인 1.7%에 불과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143만원으로 4천248만7천원인 남한의 30분의 1(3.4%) 수준에 그쳤다.
지난해 기준 북한 인구는 2천566만명으로 남한(5천162만8천명)의 절반 수준으로 추정됐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7/28/AKR20230728048000002_02_i.jpg)
2022년 북한의 대외교역 규모(재화의 수출·수입 합계. 남북 간 반·출입 제외)는 15억9천만달러로 전년(7억1천만달러) 대비 122.3% 급증했다.
이는 대북 제재 이후 처음으로 증가한 것이다.
수출(1억6천만달러)은 광물성생산품(260.7%), 섬유제품(159.7%) 등을 중심으로 전년 대비 94% 늘어났다.
수입(14억3천만달러)도 광물성생산품(39.9%), 플라스틱·고무(170.5%) 등을 중심으로 126% 급증했다.
이 팀장은 "지난해 북중 교역이 일부 재개되고 북한 자체의 국경봉쇄가 다소 완화되면서 대외교역 규모가 크게 늘었다"면서도 "그러나 여전히 대북 제재 전인 2011∼2016년 연평균과 비교하면 23.3%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남한의 대외교역 규모(1조4천149억5천만달러)는 북한의 892배였고, 수출은 4천299배, 수입은 513배에 달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7/28/AKR20230728048000002_03_i.jpg)
지난해 남북한 반·출입 규모는 10만달러로 사실상 전무한 수준이었다.
2016년 3억3천260만달러에 달했던 남북한 반·출입 규모는 그해 개성공단 폐쇄 조치 이후 급감, 2020년 390만달러, 2021년 110만달러에 이어 지난해에는 10만달러에 그쳤다.
![](http://img.yna.co.kr/etc/graphic/YH/2023/07/28/GYH2023072800070004400_P2.jpg)
pdhis9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