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경제보상에도 대만 수교 태평양 섬나라들 안 흔들릴 듯"
홍콩매체 "남미 국가 움직인 FTA·인프라 협력만으로 부족"
(홍콩=연합뉴스) 윤고은 특파원 = 중국의 경제적 보상에 끌려 남미에서 최근 몇 년간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수교하는 국가들이 이어지고 있지만, 태평양 섬나라들은 입장이 다르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편에 서는 게 유리한 태평양 섬나라들에는 중국이 제시하는 경제적 당근들이 굳이 대만에서 중국으로 외교 노선을 바꿀 만큼 충분하지는 않다는 관측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의 자유무역협정(FTA)과 인프라 협력 약속이 대만과 수교한 일부 남미 국가들에는 입장을 바꿀 만큼 매력적이지만, 태평양 도서국들에는 그렇지 않다고 전문가들을 인용해 19일 진단했다.
중국은 대만에서 독립 성향의 차이잉원 총통이 집권한 2016년 5월 이후 대만과 수교한 국가들에 대한 '매력 공세'를 강화해 잇달아 입장 전환을 이끌었다.
최근 온두라스를 포함해 차이 총통 집권 이후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수교한 국가는 9개국이다. 그중 남미에서만 5개국이 대만에서 중국으로 외교 노선을 갈아탔다.
지난 3월 온두라스와 단교로 현재 대만과 공식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는 교황청과 벨리즈, 에스와티니, 과테말라, 아이티, 나우루, 파라과이, 팔라우, 마셜제도, 세인트키츠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투발루 등 13개국이다.
바나나, 커피, 대두 등 농산물 수출에 의존하는 남미 소국들은 농산물 수입 대국인 중국과 손을 잡는 데 끌릴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은 지난주 온두라스 대통령이 자국과 수교 후 처음으로 방중하자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건설 프로젝트를 포함해 농업, 과학,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온두라스와 17개 협정에 서명했다.
또 양국 간 FTA 체결을 위한 공식 협상도 가능한 한 빨리 개시하겠다고 밝혔다.
카리브해진보연구소의 라시드 그리피스 최고경영자(CEO)는 SCMP에 "향후 5년 내 이 지역에는 대만의 어떠한 공식적인 동맹도 남아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하와이 동서센터의 선임 연구원 데니 로이는 그러한 중국의 경제적 유혹이 태평양에서는 남미만큼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짚었다.
그는 특히 마셜제도와 팔라우는 미국의 오랜 강력한 동맹으로, 두 나라는 모두 미국과 자유연합협정(CFA)을 맺었다고 강조했다.
그중 팔라우는 지난달 CFA를 갱신했는데 이 협정은 미국이 국가 안보·군사 목적으로 이들 국가의 영토와 영해를 사용하는 대가로 재정적 지원 등을 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미국은 CFA 협정 국가에 기상예보, 재난관리, 항공교통관제, 우편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로이 연구원은 "미국과 좋은 쪽에 서는 게 중요하다면 이들 나라는 중국보다 대만을 인정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말했다.
투발루도 대만의 견실한 지지국이다. 지난해 카우세아 나타노 투발루 총리는 지정학적 압박에도 민주주의, 진실, 인권에 대한 가치를 공유하는 대만의 편에 굳건히 서겠다고 밝혔다.
나우루도 가치를 공유하는 대만과의 관계를 유지할 뜻을 시사했다고 호주 태평양안보칼리지의 헨리 이바라추어가 말했다.
그는 "이들 태평양 도서국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나라들임에도 때때로 강대국들에 맞설 수 있음을 보여주고 싶어 한다"며 "중국이 이들 국가의 입장 전환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대만은 작은 개발도상국들을 놓고 중국과 헛된 경쟁을 관두고 미국과 일본 같은 나라들과의 비공식적 관계 발전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하와이 동서센터의 로이는 강조했다.
카리브해진보연구소의 그리피스도 이에 동의하면서 수교 국가가 부족하다는 점은 대만이 직면한 실존적 위협이 아니라고 지적했다고 SCMP는 전했다.
prett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