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금리 게걸음인데 단기금리는 상승…'역캐리' 심화하나
(서울=연합뉴스) 홍유담 기자 = 최근 한국은행과 정부 주도로 단기물 채권의 금리가 상승하는 가운데 국고채 금리는 기준금리를 여전히 밑돌고 있어 '역캐리'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채권 투자자는 저금리 단기물로 자금을 조달한 후 상대적으로 만기가 길고 금리가 높은 채권에 투자해 금리 차이만큼 이익을 얻는데, 단기채 금리가 높아지면 투자 수익보다 자금 조달 비용이 더 드는 역캐리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21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달 19일 기준 대표적인 조달 금리인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물 금리는 3.67%로 집계됐다.
지난달 19일 3.45%에 그쳤던 이 금리는 한 달 만에 22bp(1bp=0.01%포인트) 오르면서 기준금리(3.50%)를 넘어섰다.
통화안정증권(통안증권·통안채) 91일물과 1년물 금리는 각각 3.428%, 3.461%로 아직 기준금리에 미치지 못한 상태지만 한 달 동안 18.9bp, 19.3bp씩 올라 조만간 기준금리를 제칠 가능성이 크다.
이들 금리가 상승세를 보이는 것은 지난달 이창용 한은 총재가 단기 금리 하락이 과도하다고 지적한 후 한은과 기획재정부가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단기채 발행을 확대한 결과다.
KB증권에 따르면 한은의 이달 통안채 발행 계획은 14조원으로 지난달 대비 3조원 확대됐고, 예정에 없던 통안채 28일물을 3차례에 걸쳐 총 7조원 규모로 추가 발행하기도 했다.
지난 1∼4월 10조원 내외 수준으로 통안채를 발행한 것과 비교하면 이달에는 2배 수준으로 발행량을 늘린 것이다.
아울러 기재부가 이달 재정증권 63일물을 총 7조5천억원어치 발행할 계획인 것도 단기 금리에 상승 압력을 주고 있다.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전문위원은 "만기가 아주 짧은 채권들의 금리는 기준금리에 연동해 움직여야 통화 정책의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최근에는 그렇지 못했다"며 "한은의 통안채 발행 등은 시중의 유동성을 흡수해 단기 금리를 정상화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CD와 통안채 등 단기채 금리는 정상화 수순을 밟고 있으나, 문제는 기본적인 투자 운용 수익률인 국고채 3년물 금리가 여전히 기준금리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달 19일 기준 국채 3년물 금리는 연 3.340%로 한 달 전과 비교해 0.3bp 오른 데 그쳐 지난 3월 중순부터 꾸준히 기준금리를 밑돌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채 3년물 금리가 기준금리를 20∼30bp 웃도는 것이 정상적인 시장 상황으로 평가된다는 점에서 현재 두 금리는 한참 역전된 상태다.
단기채 금리와 비교해도 이달 19일 기준 국채 3년물 금리는 CD 91일물 금리보다 33bp 낮다. 통안증권 91일물, 1년물과 비교하면 각각 8.8bp, 12.1bp 낮다.
전문가들은 단기채 금리가 국채 3년물 금리보다 높은 역캐리 상황이 당분간 해소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이 사실상 종료된 가운데 한은의 부인에도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채권 시장에 강하게 반영되면서 국채 금리의 상승이 제한됐기 때문이다.
김기명 위원은 "최근 조달 금리가 오르면서 국채 금리와의 차이가 더 벌어져 역캐리 부담이 늘었다"며 "최근 국채 금리가 소폭 오른 것도 단기채 금리가 상승한 데 따른 영향으로, 국채 3년물 금리의 경우 레벨이 조금 올라갈 수는 있지만 기준금리보다 낮은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상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금리 인상이 마무리되거나 인하 초반기에는 인하가 여러 차례 이뤄질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로 3년물 금리가 계속 내리게 된다"며 "과거 기준금리보다 국채 3년물 금리가 낮았던 때에는 얼마 지나지 않아 실제로 기준금리가 인하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례적으로 이번 금리 사이클에서는 인하 시기가 멀었는데도 벌써 국채 3년물 금리와 기준금리 간 역전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며 "지금은 시장이 버티고 있지만 역캐리가 장기화하면 버티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다만 그는 "한은의 통안채 발행 확대 등으로 금리 상승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는 있지만, 현재 시점에서는 조달 비용 자체가 매우 낮은 수준이라 실제로 역캐리 상황에 놓였는지는 채권 투자 기관에 따라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ydh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