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yna.co.kr/etc/inner/KR/2023/04/07/AKR20230407092700017_01_i.jpg)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높은 전기전도도와 우수한 전자파 차폐 능력을 갖춰 미래 소재로 주목받는 '맥신(MXene)'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는 기술들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자파솔루션융합연구단은 성균관대 구종민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맥신을 수 시간 만에 빠르게 합성할 수 있는 기술과 맥신을 유기용매에 분산시켜 안정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맥신은 전이금속에 탄소나 질소를 결합해 2차원 평면구조로 만든 나노 소재로 전이금속을 다양하게 조합해 특성을 제어할 수 있고 전기전도도와 전자파 차폐 특성을 가져 전자장비, 미래 모빌리티, 군용 장비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맥신은 고농도 불산 수용액을 이용해 전구체의 원소를 선택적으로 깎아 나가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데, 합성에만 24시간 이상 걸리는 게 단점이었다.
연구단은 높은 끓는점을 가지는 유기용매를 이용해 반응 온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4시간 만에 Ti₃C₂맥신을 합성하는 공정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합성 수율도 30~50%에서 70% 이상으로 높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4/07/AKR20230407092700017_02_i.jpg)
이 공정은 맥신 표면 특정 분자 부분을 변형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맥신으로 만든 필름의 인장강도가 30메가파스칼(MPa)에서 160MPa 이상으로 5~6배 강해지는 효과도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연구 1 저자인 오태곤 KIST 박사는 "수천가지 조합이 가능한 다양한 맥신 소재군에도 새로운 합성법을 적용해 기존에 접근이 어려웠던 맥신 소재를 실용화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연구단은 맥신의 단점인 화학적 산화를 막기 위해 알킬화 도파유도체(ADOPA) 기반 리간드로 표면을 재구성한 맥신도 개발했다고 밝혔다.
맥신은 표면에 물에 잘 섞이는 친수성 작용기가 많아 화학적 산화가 잘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점차 전기전도도를 잃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표면 작용기를 유기 리간드로 바꾸는 기존 시도들은 반응 조건이 가혹해 소재 자체 전기 전도도를 떨어트리는 문제가 있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4/07/AKR20230407092700017_03_i.jpg)
이번에 새로 설계한 리간드는 맥신 소재와 수소결합을 통해 달라붙어 전기전도도를 잃지 않는 특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 소재의 전기 전도도는 6천S/cm로 지금까지 보고된 맥신 유기 잉크 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연구단은 강조했다.
관련 연구 결과는 최근 국제학술지 '스몰'과 '미국화학회지 나노'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shj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