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2

기후위기 예외 없다…남극 바다얼음마저 역대 최소면적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기후위기 예외 없다…남극 바다얼음마저 역대 최소면적
역대 최대치의 10분의 1…급격한 감소추세가 더 우려
"파국의 시작일까. 남극 여름해빙 아예 사라져버릴 수도"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남극의 해빙(바다얼음)이 위성 관측 사상 역대 최소 면적으로 쪼그라들었다.
북극보다 온난화 영향에서 자유로운 것으로 보이던 남극마저 기후변화 직격탄을 피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돼 우려가 커지고 있다.
CNN방송에 따르면 미국 국립설빙데이터센터(NSIDC)는 21일(현지시간) 남극 대륙을 둘러싼 해빙 면적이 13일 기준 191만㎢로 1978년 시작된 위성 관측 사상 최소 면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기존 기록은 작년 2월25일 기록한 192만㎢였다. 2년 연속 역대 최소 기록이 경신된 셈이다.
더구나 아직 남극의 여름이 1주일은 더 남아 있어 면적이 더 줄어들 가능성도 작지 않다.
볼더 콜로라도대학의 빙하학자 테드 스캠보스 교수는 "단순한 최저기록이 아니다"라며 "해빙 면적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이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변 대륙에서 멀리 떨어진 남극은 그동안 기후변화의 영향권에서 다소 벗어나 있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북극에서는 기후변화 추세에 따라 해빙 면적이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가 분명했지만, 남극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해마다 해빙 면적이 들쑥날쑥한 경향을 보였다.
지형적인 특성이 이런 현상에 한몫했다. 북극이 대륙에 둘러싸인 해양 형태라면, 남극은 해양에 둘러싸인 대륙 형태다. 남극에서는 해빙이 형성될 때 주변 대륙에 방해받지 않고 면적을 확대하며 뻗어나가는 경향이 있었다.
얇은 해빙은 주변 기상에 쉽게 영향을 받아 겨울에 쉽게 덩치를 키우고 여름에는 빨리 작아졌다. 기후변화의 영향이 분명해진 최근에도 전문가들조차 남극·남극해가 어떤 방식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 결론 내리기 쉽지 않았다. 2014년에는 남극 해빙 면적이 2천11만㎢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찍기도 했다.

그러나 2016년부터 해빙 면적이 눈에 띄게 감소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일부 전문가들도 남극이 또 변덕을 부리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2022년에 이어 2023년까지 2년 연속 해빙 면적이 최저치를 찍으면서 이런 분석은 힘을 잃는다고 CNN은 전했다.
독일 알프레드 베게너 연구소에서 해빙을 연구하는 크리스찬 하스는 CNN에 "문제는 기후변화가 남극에 이르렀느냐는 것이다. 이것이 파국의 시작인지, 다가오는 여름에는 남극의 해빙이 아예 사라져 버릴 것인지도 의문"이라고 했다.
남극 해빙 감소에는 바람이나 해류 등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일단 남극 일부 지역 평균 기온이 평년의 섭씨 1.5도까지 높아진 것이 가장 결정적인 원인으로 지목된다. 남극 주변 서풍제트기류의 변화가 요인이라는 해석도 있다. 이 기류는 수십 년 단위로 모습을 바꾸는데 최근 느슨해진 서풍 제트기류 탓에 저위도 지역의 따뜻한 공기가 남극에 유입됐다는 것이다.
해수면 바로 아래에 갇힌 온난성 해류가 해빙을 녹였다는 분석도 있다.

해빙 감소는 파급력이 작지 않다. 이미 바다에 떠 있는 해빙이 녹는다고 해서 즉각 해수면이 상승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육지를 둘러싼 해빙이 녹으면, 대륙의 빙상(육지를 넓게 덮은 얼음덩어리)이 파도나 따뜻한 해류에 노출돼 녹을 가능성이 커진다. 빙상은 해수면 상승과 직결된다.
생태계 피해도 예상된다. 생태계 밑바탕을 책임지는 해조류 등이 해수온도 등 해양 환경 변화의 타격을 받으면 먹이사슬을 거쳐 고래, 바다사자, 펭귄 등까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CNN은 남극의 해빙 면적에 변동 폭이 컸다는 점에서, 최근 2년 연속 기록된 해빙 감소 추세가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았는지, 아니면 다시 해빙이 빠른 속도로 늘어날지 결론 짓기는 이르다고 전했다.
스캠보스 교수는 "적어도 5년은 더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남극에서 뭔가 변한 것 같다. 그리고 그 변화는 분명히 극적이다"라고 말했다.
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