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중앙정부는 지원 역할…각 지역 특성 맞는 성장 추구"
(서울=연합뉴스) 문다영 기자 = 수도권과 지역 간 과학기술 분야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각 지역 과학기술계획을 해당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수립하고 중앙정부는 이를 지원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 부산 한 호텔에서 종합계획 발표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을 공개했다.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은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하는 지역 과학기술 분야 최상위 계획이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3/01/03/PYH2023010314420001300_P2.jpg)
이번 제6차 종합계획에서는 정부가 마련한 종합계획을 지역이 실행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지자체 주도로 지역 특성과 역량을 진단하고 지역에 특화된 중장기 과학기술 혁신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점을 뒀다.
정부는 이를 위해 '지역과학기술혁신법'을 제정하고, '지역과학기술전략회의'를 구성해 지역과 중앙정부의 협업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지역 대학과 연구기관이 지역 혁신을 이끌 거점 기관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러한 지역 거점 대학을 중심으로 지역 전략기술과 연계한 핵심기술 연구단을 설치하고 지역특화 선도연구센터를 확대해 기초연구 지원을 강화하는 내용도 담겼다.
또 흩어진 정부출연연구기관 지역조직은 권역별로 결집해 거점 연구소로 개편하고 우수한 지역인재의 채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지역 거점대학과 출연연을 연계하는 거점 플랫폼 구축에 52억4천만 원, 지역 주도 중장기 현안 프로젝트에 77억 원을 투자한다.
또 지역에서도 유니콘 기업이 나올 수 있도록 지역 대학과 연구기관, 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을 연계한 프로젝트도 진행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지역에 청년 인재들이 정착할 수 있도록 교육, 문화, 주거 등 정주 여건도 개선한다.
아울러 정부 연구개발사업을 선정할 때 지역인재 채용 기업에 가점을 부여하는 등 청년 연구인력이 지역 중소기업에 장기근속하고 혁신 기업이 지역 인재 채용을 확대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할 예정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역이 주도적으로 과학기술 혁신 정책을 수립·추진하고, 정부는 이를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며 "각 지역 특성에 맞는 성장을 통해 지역이 다시 활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정책 발표회 이후 부산, 경기, 경북, 대전 등 지역별 과학기술진흥계획도 발표를 통해 공유됐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1/10/AKR20230110132200017_01_i.jpg)
zer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