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었던 수출 흔들리자 범부처 총동원…3대 전략시장 집중공략
대통령 주재 수출전략회의서 중동·중남미·EU 신시장 개척방안 보고
(서울=연합뉴스) 권희원 기자 = 한국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던 수출마저 흔들리자 정부가 각 부처 역량을 총동원해 돌파 전략을 짰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23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1차 수출전략회의에서 수출활력 제고 방안을 보고했다.
정부는 당초 문재인 정부에서 폐지됐던 무역투자진흥회의를 부활시켜 국무총리 주재 무역투자전략회의를 열 계획이었으나, 올해 연간 무역적자가 400억달러에 육박하며 위기감이 커지자 대통령 주재로 범부처 회의를 열었다.
◇ 네옴프로젝트 유형별 대응…기존 주력시장은 다각화
정부는 중동과 중남미, 유럽연합(EU)을 3대 전략시장으로 설정하고 방산·원전·인프라 등 전략 수출분야 협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사우디아라비아의 '비전 2030',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경제비전 2030' 등 중동 국가들의 제조업 육성 정책에 맞춰 우리 기업의 진출을 지원하고 네옴시티 등 에너지·인프라 대형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고위급 네트워킹을 추진한다.
최근 방한한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40조원 규모 투자를 약속한 만큼 산업부 장관 주관으로 '한-사우디 경제협력 민관추진위원회'를 발족한다. 사우디와 체결한 26건의 업무협약(MOU) 추진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서다.
사업이 구체화된 MOU 14건, 초기 단계인 MOU 8건 등 유형별로 나눠 금융보증, 컨설팅을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중남미 신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남미공동시장(MERCOSUR·메르코수르)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추진하고 칠레, 브라질 등 자원 부국과 광물협력을 강화한다.
EU 시장에서는 폴란드와 원전 프로젝트를 계기로 원전 시장 진출과 방산 수출을 확대한다.
우리 수출의 57%를 점한 3대 주력시장인 아세안, 미국, 중국에선 수출품목 다각화와 트렌드 대응에 힘을 쏟는다.
중간재 85%, 베트남 48%로 치중된 아세안 수출시장은 소비재·서비스·인프라로 다각화하고 인도네시아, 태국 등으로 공급망 투자를 분산한다.
무역적자가 이어진 중국 시장에선 실버(의약품), 엔젤(패션·의류), 싱글(생활용품) 트렌드를 반영해 소비재 수출에 주력한다.
◇ 주력업종 투자가속…범부처 수출지원체계 구축
정부는 총 수출의 78.2%를 차지한 15대 주력업종의 맞춤형 수출 전략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에 654조원 규모 투자 프로젝트 이행을 가속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까지 3천억원 규모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조성하고 1조원의 재정을 투입한다.
부처별로 정보통신기술(ICT), 바이오, 농수산식품 등 새로운 수출 유망분야 발굴에 나선다.
정부는 유망분야 내년 수출목표를 바이오·의료 280억달러, 농식품 100억달러, 문화콘텐츠 166억달러로 잡았다.
범부처 수출지원 전담체계도 강화한다.
매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주재하고 14개 수출유관부처 실·국장급이 참석하는 수출지원협의회를 연다. FTA 지원센터와 무역협회, 코트라, 무역보험공사가 참여하는 무역통상진흥협의회를 가동하고 수출현장지원단장을 통상교섭본부장으로 격상한다.
내년 마케팅·인증·물류 지원 예산의 60%(8천100억원)를 상반기에 집행한다. 무보는 내년 무역금융 규모를 최대 260조원까지 확대하고, 코트라는 상반기에 471억원의 수출바우처를 발급한다.
hee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