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7.55

  • 1.64
  • 0.07%
코스닥

679.02

  • 0.83
  • 0.12%
1/3

대외경제연, 내년 세계성장률 전망 3.6%→2.4%…"금리급등 우려"(종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대외경제연, 내년 세계성장률 전망 3.6%→2.4%…"금리급등 우려"(종합)
내년 미국 성장률 0.6%…유로 지역은 제자리·영국은 마이너스 성장 전망
중국 부동산 경기 둔화도 우려…성장률 전망치 4.8%로 하향



(세종=연합뉴스) 곽민서 김다혜 기자 = 내년 세계 경제가 2.4% 성장하는 데 그치며 경기 하강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는 국책연구원의 전망이 나왔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0일 발표한 '2023년 세계 경제 전망'에서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2.4%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5월 전망치(3.6%) 대비 1.2%포인트(p) 하향 조정된 수치다.
내년 세계 경제의 위험 요인으로는 기준금리 급등과 민간 부채 부담을 꼽았다.
연구원은 "코로나19 이후 완화적 통화정책을 되돌리는 속도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와 비교해 너무 빠르고 강도도 높은 데다가 최근 공급망 위기까지 겹치면서 실물 침체가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준금리 인상은 특히 민간 부채가 급격하게 확대된 신흥국과 저개발국에 큰 부담이 되면서 추가적인 글로벌 경기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재정을 풀어 경기 침체를 막기에는 늘어난 국가부채와 물가가 걸리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우크라이나 사태, 미중 경쟁 등의 지정학적 리스크도 향후 경기 하강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연구원은 덧붙였다.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벌어진 후 글로벌 경제는 살얼음판을 지나고 있다"며 "원자재를 위시한 자원 무기화가 한층 심화한 인플레이션을 자극하면서 경제 전반의 상품과 서비스 가격 인상으로 확산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저물가·저이자율의 시대가 다시 오는 데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국가별로는 내년 미국의 성장률 전망치가 기존 2.2%에서 0.6%로 대폭 하향됐다.
고물가와 금리 인상에 따른 부담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치 지형 변동으로 대규모 재정정책 또한 제약될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역시 물가 상승과 함께 공급망 차질을 겪고 있는 유로 지역의 경우 내년 경제 성장률이 0.0%, 영국은 -0.2%로 각각 전망됐다.
특히 유럽에서는 내년부터 본격적인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봤다.
김 원장은 "우리 수출의 약 24%를 차지하는 미국과 유럽의 경제 부진은 최종 소비재를 중심으로 수출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중국의 성장률 전망치도 부동산 경기 둔화를 비롯한 리스크 요인에 따라 종전 5.3%에서 4.8%로 하향 조정됐다.
연구원은 또 내년 상반기까지 미국의 공격적인 통화 긴축이 이어지며 달러화가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원/달러 환율도 미국의 통화 긴축과 안전자산 선호 등 대외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상고하저'의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분석했다.
주요 선진국의 장기 국채금리는 당분간 상승세를 이어가되 내년 초 이후에는 완만하게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우리나라 장기 국채금리도 상승세를 유지하겠지만, 내년 중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이 이뤄지면 국채 수요가 늘어나면서 금리 상승세를 제한할 것으로 진단했다.
내년 국제유가 전망치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기준 배럴당 평균 91.62달러로 제시했다.
올해(배럴당 97.78달러)보다는 소폭 낮지만 2021년(배럴당 67.98달러)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종전 전망치(3.5%) 대비 0.4%p 내려간 3.1%에 그쳤다.


mskwa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