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강남센터 13만명 분석…"당뇨병 진단 동시에 운동 시작해야"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당뇨병 환자는 치매 예방을 위해서라도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한다는 권고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가정의학과 유정은 교수, 고대 구로병원 남가은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9∼2012년 국가건강검진에서 당뇨병을 처음 진단받은 13만3천751명을 대상으로 2017년까지 치매 발생 여부를 관찰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27일 밝혔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9/27/AKR20220927095500017_01_i.jpg)
연구팀은 연구 기간 중 치매 진단을 받은 3천340명(2.4%)을 중심으로 평상시 신체 활동과 치매 발생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신체 활동은 하루 30분 정도의 중간 강도 운동이 주 5회 이상이거나, 하루 20분 정도의 고강도 운동이 3회 이상인 경우로 정의됐다.
이 결과 규칙적인 신체 활동을 한 그룹에서는 치매 발생 위험이 평균 18%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런 신체 활동의 효과는 알츠하이머병(15%)보다 혈관성 치매(22%)에서 더 컸다.
규칙적인 신체 활동이 2년을 넘어선 경우에는 치매 발생 위험이 27%(알츠하이머병 26%, 혈관성 치매 38%)까지 감소하는 효과가 관찰됐다.
연구팀은 규칙적인 운동이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과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고, 당뇨병에 동반하는 심혈관질환 위험 요인(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등)을 개선함으로써 치매 발생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추정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9/27/AKR20220927095500017_02_i.jpg)
유정은 교수는 "당뇨병 환자들의 뇌신경학적 변화는 당뇨병 초기부터 시작되는 만큼 당뇨병 진단 직후가 생활 습관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적기"라고 설명했다.
유 교수는 "실제 이번 연구에서 신체 활동이 부족했던 당뇨병 환자가 규칙적인 신체 활동을 시작한 경우 치매 발생 위험이 최대 14%까지 줄었다"면서 "당뇨병으로 진단받았다면 이미 늦었다고 생각하지 말고 지금부터라도 규칙적인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게 중요하다"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당뇨병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당뇨병 관리'(Diabetes Care) 최근호에 발표됐다.
bi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