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세 떨치는 '킹 달러'에…한국도 고물가 시름 계속된다
연준 '물가 잡기' 통화 긴축 강화에 각국 통화가치 급락
수입비용 급증이 물가 압박…미국이 인플레 수출 비판도
(서울=연합뉴스) 김문성 기자 = '킹 달러'(달러화 초강세)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물가 걱정도 한층 커지고 있다.
고공 행진하는 자국 물가를 잡기 위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큰 폭의 기준금리 인상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강도 높은 통화 긴축에 따른 달러화 초강세는 선진국이나 신흥국 가릴 것 없이 자국 통화 약세로 인한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원유, 곡물 등 필수 원자재나 생필품의 수입 의존도가 높은 나라일수록 그 충격이 크다.
여기에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유럽의 에너지난 등 국제 공급망 불안 영향이 가세하면 물가 고통이 더 커지며 장기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 '킹 달러' 위세…각국 통화가치 약세로 고물가 시름
미국의 물가 '정점론'이 힘을 잃으면서 전 세계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의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동월 대비 8.3%로 시장 전망치 8.0%를 웃돌면서 고물가 고착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준이 이달 20~2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한 번에 1%포인트 올리는 '울트라 스텝'을 밟을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연준은 지난 7월과 8월 기준금리를 각각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는 등 강력한 통화 긴축 정책을 펴고 있다.
여기에 미국을 비롯한 세계적인 경기 침체 우려까지 더해지면서 안전자산인 달러화 가치가 급등하고 있다.
유로화, 일본 엔화 등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DXY)는 지난 15일 109선으로 한 달 사이에 3%, 올해 초보다 14% 정도 올랐다.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올해 들어 17%가량 상승(통화가치 하락)하며 1,400원에 육박했다.
달러화 강세는 미국의 물가를 끌어내리고 구매력을 키울 수 있지만 다른 나라에는 그렇지 못하다. 달러화로 거래하는 물품과 서비스의 수입 비용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8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9.1% 상승하며 10개월 연속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일본의 7월 소비자물가는 7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인 2.4% 올랐다. 모두 달러화 강세가 일정 부분 영향을 끼쳤다.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8월 5.7%를 기록해 외환위기 이후 거의 2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7월 6.3%보다 낮아졌지만 상당 기간 5~6%대의 높은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한국은행은 예상한다. 여기에는 원유 등 수입 에너지 가격과 원/달러 환율 상승이 작용했다.
한은은 지난 8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올해 들어 달러화 대비 주요국의 통화가치가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이 각국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증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뉴질랜드, 노르웨이, 스위스 등은 자국 통화 절하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을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배경의 하나로 통화정책 의결문에 명시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원/달러 환율 상승이 상반기에만 국내 소비자물가를 0.4%포인트 정도 끌어올린 것으로 추정했다.
필립 배럿 국제통화기금(IMF) 경제분석가는 이달 9일 IMF 블로그를 통해 "물가 상승이 세계적으로 생활 수준을 계속 압박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억제는 정책당국자들의 최우선 순위가 돼야 한다"며 "보다 긴축적인 통화정책은 불가피하게 경제적 비용을 치르겠지만 이를 늦추면 더 악화할 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인플레이션 초기 대응이 늦었다는 비판을 받는 연준의 가파른 금리 인상 충격을 다른 나라가 더 크게 받는 것이 문제다. 이 때문에 미국이 '강달러'로 인플레이션을 수출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 "고환율 당분간 지속…한국 물가 상승 압력 확대 우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은 미국의 금리 인상발 달러화 강세에 뾰족한 대응책이 없는 실정이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 정책위원을 지낸 시라이 사유리 일본 게이오대 교수는 최근 블룸버그 통신에 "다른 나라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대응한 자국) 정책금리 인상으로 자국 통화의 평가절하를 멈추게 하지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미국의 강한 통화 긴축 기조와 세계적인 경기 침체 우려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달러화 가치가 크게 오르고 있어서다.
우리 정부는 국내 물가가 10월께 정점을 찍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하지만,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대한상공회의소 싱크탱크인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의 민경희 연구위원은 지난 4일 '최근 환율 상승 현황 및 평가' 보고서에서 "환율 상승으로 기업의 중간재 수입비용 부담이 커지고 소비자물가가 상승하는 영향이 확대됐다"며 "환율이 상당 기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한은은 원/달러 환율이 연준의 긴축 기조 지속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경우 물가 상승을 압박할 것으로 예상했다.
여기에다 유럽연합(EU)에 대한 러시아의 천연가스 공급 중단에 따른 가스 가격 상승과 원유 수급 불안 우려 등이 겹치면 물가 상승 압력은 더 커진다.
한은은 미국과 유럽의 경기 침체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단기적으로 유럽의 침체 가능성이 더 높다며 유럽발 공급 충격으로 원자재 가격이 크게 상승할 경우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은 낮아지고 물가 상승률은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강달러로 원화 가치가 계속 떨어지면 원자재 등의 수입 가격 상승으로 물가는 더 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한은이 연준의 금리 인상을 감안하면서 국내 물가를 잡는 데 초점을 맞춰 통화정책을 펴면 경기 활성화에 제동이 걸릴 수밖에 없다"며 "취약 계층 지원을 늘릴 필요가 있지만 물가 때문에 정부의 재정 확대도 쉽지 않은 만큼 적절한 대응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kms123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