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84.06

  • 7.99
  • 0.29%
코스닥

838.65

  • 3.47
  • 0.41%
1/2

기업 재생에너지 구매 선택 폭 넓힌다…'직접PPA' 도입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기업 재생에너지 구매 선택 폭 넓힌다…'직접PPA' 도입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기업 재생에너지 구매 선택 폭 넓힌다…'직접PPA' 도입
전기사용자, 한전 통하지 않고 재생에너지 전기 구매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다음 달부터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생산된 전기를 전기사용자가 전력시장을 통하지 않고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직접PPA(전력구매계약) 제도'가 시행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1일 관련 전문가와 기업의 의견을 수렴해 직접PPA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직접거래가 허용되는 발전원은 글로벌 RE100(2050년까지 사용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캠페인)과 동일하게 태양에너지, 풍력, 수력, 바이오, 지열, 해양에너지로 한정했다.
전기를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전기사용자 규모는 당초 1MW(메가와트)를 초과하는 경우로 한정하려던 것을 300kW(킬로와트) 이상으로 확대했다.
발전량이 소비량보다 많아 남는 전기는 전력시장에 판매하고, 반대로 부족한 전기는 전력시장 또는 한국전력[015760]을 통해 살 수 있다.
직접PPA 제도에 참여하는 기업의 부담 완화를 위해 전력거래소가 부과하는 거래수수료를 3년간 면제하고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재생에너지 전력 구매 프로그램인 '녹색프리미엄'으로 조성된 재원으로 망 이용요금을 1년간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번 직접PPA 제도 시행으로 재생에너지 구매 선택 폭이 넓어짐에 따라 국내 기업의 RE100 참여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존에는 전기사용자가 직접 재생에너지전기를 선택적으로 구매할 수 없어 기업들의 RE100 참여 방법이 제한적이었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전기를 사용하려는 국내 기업들은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에 직접 투자하거나 한전이 중계 역할을 하는 제3자 PPA제도를 이용해야 했다.
kak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