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축산 대표사례 제주양돈농협 가축분뇨 공동자원화공장
"규제 때문에 수익 못 내…소방·청소·조경수로 활용 가능"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8/27/AKR20220827025200003_02_i.jpg)
(제주=연합뉴스) 이영섭 기자 = '꿀꺽'. 유리컵에 받아 마신 물은 조금 미지근했다. 이 점 외에는 평소에 마시는 정수기의 물과 다를 바가 없었다. 맛으로나 향으로나 그저 '맹물'이었다.
이 물이 돼지 분뇨를 정화 처리해 걸러낸 물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놀라웠다.
제주양돈농협 가축분뇨 공동자원화공장의 오용수 공장장은 "용해고형물질(TDS) 함량만 따지면 '○○○'(유명 생수 제품)보다 우리 정화수가 더 맑다"고 설명했다.
지난 26일 취재진이 견학차 방문한 이 시설은 하루에 분뇨 약 318t을 반입해 퇴·액비(액상비료) 168t, 재이용수 148t으로 재생산한다.
막 여과(Membrane Filter)와 역삼투압 현상을 활용해 분뇨를 물리적으로 정화하는 게 이 공장의 특징이다. 응집제를 쓰지 않는 만큼 폐기물이 따로 발생하지 않는다.
정화된 물은 미네랄 함량이 적어 식수로는 적합하지 않지만 청소·조경·소방 등에 쓰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공장은 친환경 축산시설의 모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전국에 가축분뇨 정화처리 역량을 갖춘 시설은 7곳이며 9곳이 추가로 세워지고 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8/27/AKR20220827025200003_01_i.jpg)
취재진은 액비화조 등의 시설을 둘러보면서 얼굴을 찡그리거나 코를 막지 않아도 됐다. 분뇨의 역한 냄새가 전혀 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오 공장장은 "제대로 발효시킨 분뇨에서는 냄새가 나지 않는다"며 "우리 공장에 파리와 모기가 없는 것은 이 때문"이라고 자부했다.
그는 "축산시설은 보통 악취 때문에 지역 사회에서 '혐오시설'로 인식되곤 하는데 우리가 이를 개선하는 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19년 사업장을 개설한 후 이 공장의 운영비는 연간 약 34억원이라고 한다. 농가로부터 분뇨 수거비를 t당 3만원 이상씩 받지만 아직은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수익을 내려면 정화수를 외부에 팔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 환경 관련 규제 때문에 정화수의 반출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8/27/AKR20220827025200003_05_i.jpg)
고권진 제주양돈농협 조합장은 "막대한 비용을 들여서 투자했지만 환경법 때문에 정화수를 활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적자여도 양돈농가 조합원을 위해 사업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정화수를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면 농가의 분뇨 수거비도 줄일 수 있고, 정화수를 소방이나 공사 용수로도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장 견학을 마친 취재진은 정문 앞에 조성된 작은 연못으로 안내됐다. 정화수로 조성됐다는 연못에는 금붕어 떼가 활기차게 움직였다. '물 반, 금붕어 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
오 공장장은 "일반 수돗물은 소독되기 때문에 금붕어가 살 수 없지만 우리 정화수는 별도 소독작업을 거치지 않는다"며 금붕어 먹이를 한 움큼 집어 연못에 던졌다.
그는 "이 좋은 물을 지역사회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게 제도가 얼른 정비됐으면 하는 게 바람"이라고 희망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8/27/AKR20220827025200003_03_i.jpg)
young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