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바이오 집중 육성…5년 뒤 시장 1조2천억원 규모로 키운다
해양 바이오산업 신성장 전략 발표…고용규모 1만3천명으로 확대
(서울=연합뉴스) 차민지 기자 = 정부는 오는 2027년까지 해양 바이오 시장 규모를 1조2천억원까지 늘리고 해양 바이오를 통한 고용 규모를 1만3천명까지 확대한다고 28일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이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이 담긴 '해양 바이오산업 신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해양 바이오산업은 해양생물에서 바이오소재를 개발해 식량·에너지·산업 소재·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이다.
글로벌 해양 바이오 시장은 빠르게 성장해 2027년에는 현재의 1.6배인 11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인데 한국의 경우 제반 인프라·인력·투자·기술 수준 등이 크게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해수부는 신성장 전략을 통해 해양 바이오산업의 시장 규모와 고용 규모를 늘려 해양 바이오산업이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해양 바이오산업의 성공은 핵심 기술 보유 여부가 좌우하는 만큼 해수부는 일단 핵심 기술 개발에 주력하기로 했다.
해양자원 4천여종을 분석해 항암 등 기초소재를 확보하고 콜라젠 등 주요소재 국산화 개발에 돌입한다. 이를 통해 30%에 불과한 해양 바이오 소재의 국산화율을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또 유전체 분석·합성생물학 기반 연구를 확대하고 기업과 공동으로 바이오 파운드리를 조성해 상용화도 촉진한다. 바이오 파운드리는 합성생물학의 모든 과정을 표준화·자동화·고속화한 시스템을 말한다.
해수부는 아울러 해양 바이오 선순환의 산업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한 거점별 산업 클러스터도 조성한다.
이와 함께 해양 바이오 분야의 연구·개발(R&D) 투자 규모를 현재 630억원에서 2027년 1천억원 수준으로 확대하고 정부·민관 공동 펀드를 조성한다.
해양 바이오 뱅크를 확대하는 동시에 해양 바이오 데이터 센터도 구축한다. 해양생물자원관이 2018년부터 운영해오고 있는 해양 바이오 뱅크는 해양 바이오소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 기관, 대학 등을 위해 산업화할 수 있는 유용한 소재를 발굴해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밖에 전용 조사선이 부족해 일부 연근해나 대양에서의 자원조사가 미흡한 점을 고려해 전용선 건조를 추진하고 조사선 공동활용시스템도 개발·운용한다.
해수부는 기업활동 지원을 위해서는 해양 바이오 규제 태스크포스(TF)를 즉시 구성하고 산업 전 단계에 걸쳐 관련 규제를 발굴하고 정비할 예정이다.
또 전문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관련 교육을 전담하는 인력양성센터도 조성한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이번 대책을 근간으로 삼아 해양 바이오산업이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개발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cha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