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6.52

  • 1.08
  • 0.04%
코스닥

839.98

  • 7.99
  • 0.96%
1/2

중국 헝다 CEO·CFO 동반사임…구조조정 불확실성 증폭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중국 헝다 CEO·CFO 동반사임…구조조정 불확실성 증폭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중국 헝다 CEO·CFO 동반사임…구조조정 불확실성 증폭
이달말 헝다 구조조정안에 촉각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빠진 중국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이달 말 기본적인 채무 구조조정안 발표를 앞두고 최고경영자(CEO)와 최고재무책임자(CFO)가 동반 사퇴하는 일이 벌어졌다.
25일 블룸버그통신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헝다는 자회사의 빚보증 손실에 개입된 샤하이쥔(夏海鈞) CEO와 판다롱(潘大榮) CFO가 사임한다고 밝혔다.
새 CEO로 샤오언(肖恩) 이사가 선임됐다.
이에 앞서 지난 3월 헝다는 홍콩 증권거래소 공시를 통해 자회사인 헝다물업(恒大物業)이 제삼자에게 담보로 제공한 회사 예금 134억위안(약 2조6천억원)이 채권자인 금융기관에 강제로 넘어간 사실을 작년도 사업보고서 작성 과정에서 발견했다고 밝혔다.
헝다는 이번 사건이 회사 전반에 끼칠 영향을 분석하는 한편 독립 조사위원회도 꾸려 조사를 진행해왔다.
헝다는 CEO 사임 발표와 함께 헝다물업의 예금을 담보로 받은 대출금이 헝다그룹으로 전용돼 사용됐다고 밝혔다.
헝다는 담보 예금의 상환 일정과 관련해 헝다물업과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헝다가 이달 말 발표하는 부채 구조조정안이 다른 부동산업체의 로드맵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달러 표시 채권에 대해 디폴트에 빠진 중국 부동산업체 대다수는 현재 부채 구조조정안을 제시하지 않고 그 대신 만기를 연장하고 있다.
2020년 부동산 업계의 과도한 차입과 정부의 부동산 투기 단속으로 촉발된 중국 주택시장의 침체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최근 수주 동안 아파트 등 주택을 분양받고도 공사가 중단돼 입주하지 못한 수분양자 등의 대출 상환 거부 운동이 전국 곳곳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이번 헝다 구조조정이 부동산 업계에서 계속 확산하는 디폴트와 관련 구조조정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중요한 선례가 될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망했다.


pseudoj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