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yna.co.kr/photo/etc/epa/2022/07/14/PEP20220714176801009_P2.jpg)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프랑스 최대의 축제일인 '바스티유의 날'(프랑스 대혁명기념일)이 돌아왔습니다.
매년 7월 14일(현지시간)이 되면 프랑스 파리 샹젤리제 거리에선 대규모 군사 퍼레이드가 펼쳐지고, 에펠탑 앞 광장을 비롯해 프랑스 전역에서 대규모 불꽃놀이가 이어집니다.
![](http://img.yna.co.kr/photo/etc/af/2022/07/14/PAF20220714190301009_P2.jpg)
바스티유 데이는 프랑스 대혁명의 발단이 된 1789년 7월 14일의 바스티유 감옥 습격 사건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당시 프랑스의 반(反) 군주 지지자들은 부르봉 왕가의 상징과도 같은 바스티유 감옥을 습격해 반체제 인사들을 포함해 죄수들을 구출해냈습니다.
이 사건은 역사의 흐름을 바꾼 대격변의 서막이 돼 프랑스 공화 민주주의의 물꼬를 텄습니다.
![](http://img.yna.co.kr/photo/etc/epa/2022/07/14/PEP20220714156401009_P2.jpg)
![](http://img.yna.co.kr/photo/etc/epa/2022/07/14/PEP20220714188201009_P2.jpg)
![](http://img.yna.co.kr/photo/yna/YH/2022/07/15/PYH2022071502110034000_P2.jpg)
이날이 되면 프랑스의 상징적 이념인 자유와 평등, 박애를 뜻하는 삼색기가 곳곳에 나부낍니다.
빨강과 파랑, 흰색으로 이뤄진 삼색 불꽃이 하늘을 수놓습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2/07/15/PYH2022071502390034000_P2.jpg)
프랑스 대혁명의 정신을 되새기고 화합을 다짐하며 축제를 즐기는 모습입니다.
관광객의 시선도 쏠립니다.
프랑스 국민뿐만 아니라 관광객들의 시선을 잡아끕니다.
![](http://img.yna.co.kr/photo/reuters/2022/07/14/PRU20220714249801009_P2.jpg)
뙤약볕 아래 참석자들은 책으로, 부채로 잠시 더위를 피해봅니다.
![](http://img.yna.co.kr/photo/etc/xi/2022/07/15/PXI20220715003001009_P2.jpg)
무더위에 군용견도 목이 마르는가 봅니다.
![](http://img.yna.co.kr/photo/reuters/2022/07/14/PRU20220714253801009_P2.jpg)
프랑스는 이번 행사를 통해 우크라이나와 동유럽 국가에 응원의 메시지도 전했습니다.
프랑스는 우크라이나의 투쟁 의지에 경의를 표하고, 동유럽 국가들과 연대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우크라이나 지원 노력을 과시하고자 전투기와 군용 차량, 드론도 등장했습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2/07/15/PYH2022071510470034000_P2.jpg)
또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헝가리 대표단이 자국 국기를 달고 샹젤리제 거리를 따라 개선문을 거쳐 콩코드 광장으로 행진했습니다.
나토군 소속으로 동유럽에 배치된 프랑스 병력이 뒤를 따랐습니다.
![](http://img.yna.co.kr/photo/etc/epa/2022/07/14/PEP20220714153901009_P2.jpg)
저녁에는 불꽃놀이가 열렸습니다.
올해 모토는 '불꽃 공유'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의 저항, 동료 유럽인과의 연대, 현재 위기 국면에서 단합을 단결하라는 요구 등을 떠올린 것이라는 게 프랑스 정부 설명입니다.
파리의 명물 에펠탑 위로 화려한 불꽃이 터집니다.
![](http://img.yna.co.kr/photo/etc/af/2022/07/15/PAF20220715117201009_P2.jpg)
![](http://img.yna.co.kr/photo/etc/af/2022/07/15/PAF20220715178101009_P2.jpg)
![](http://img.yna.co.kr/photo/etc/af/2022/07/15/PAF20220715178401009_P2.jpg)
에펠탑은 조명에 따라 프랑스 국기가 됐다, 우크라이나 국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http://img.yna.co.kr/photo/etc/af/2022/07/15/PAF20220715118301009_P2.jpg)
![](http://img.yna.co.kr/photo/etc/af/2022/07/15/PAF20220715117901009_P2.jpg)
noma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