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에 중단된 스페인 '산 페르민' 축제 3년 만에 재개
![](http://img.yna.co.kr/photo/etc/epa/2022/07/08/PEP20220708142201009_P2.jpg)
`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스페인에서 가장 유명한 소몰이 축제인 북부 팜플로나 지역의 전통행사 '산 페르민'이 코로나19 사태로 중단된 지 3년 만에 재개됐습니다.
![](http://img.yna.co.kr/photo/ap/2022/07/09/PAP20220709087101009_P2.jpg)
올해 산 페르민 축제는 수만 명의 인파가 몰린 가운데 6일(이하 현지시간) 개막했고, 하이라이트인 '소몰이'는 이튿날인 7일부터 시작됐습니다.
![](http://img.yna.co.kr/photo/ap/2022/07/07/PAP20220707150701009_P2.jpg)
시청 앞에 모인 수천명의 참가자가 황소들에 쫓기며 800여m 떨어진 투우장까지 비좁은 골목길을 달리는 행사입니다.
![](http://img.yna.co.kr/photo/etc/epa/2022/07/08/PEP20220708148601009_P2.jpg)
AP 통신은 7일과 8일 두 차례 소몰이 행사에서 각각 6명씩 12명이 다쳐 치료를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http://img.yna.co.kr/photo/etc/epa/2022/07/08/PEP20220708136401009_P2.jpg)
이들 대다수는 넘어지거나 부딪혀 타박상을 입었습니다.
![](http://img.yna.co.kr/photo/etc/epa/2022/07/08/PEP20220708136201009_P2.jpg)
소에 밟히거나 팔이 부러진 사람도 있었지만, 다행히 소뿔에 찔려 중상을 입은 참가자는 없었다고 합니다.
![](http://img.yna.co.kr/photo/etc/af/2022/07/08/PAF20220708177501009_P2.jpg)
소뿔에 찔리는 건 소몰이 행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상황으로 꼽힙니다.
![](http://img.yna.co.kr/photo/etc/epa/2022/07/08/PEP20220708142101009_P2.jpg)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 전 산 페르민 축제가 마지막으로 열린 해였던 2019년에는 최소 39명이 다쳤고, 소뿔에 찔린 사람이 8명에 이르렀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http://img.yna.co.kr/photo/ap/2022/07/08/PAP20220708106601009_P2.jpg)
1910년 이후 산 페르민 축제에선 소몰이 행사에 참가했던 16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마지막 사망자가 발생한 해는 2009년이었습니다.
![](http://img.yna.co.kr/photo/reuters/2022/07/08/PRU20220708385201009_P2.jpg)
소몰이에 동원된 황소들은 같은 날 오후 전문 투우사 경기에서 도살됩니다.
![](http://img.yna.co.kr/photo/reuters/2022/07/08/PRU20220708039501009_P2.jpg)
팜플로나 지역에서 600년 넘게 이어져 온 전통축제인 산 페르민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1926년작 소설 '해는 또다시 떠오른다'에 등장한 것을 계기로 세계적으로 유명해졌습니다.
산 페르민 축제는 9일간 이어지며, 올해는 14일까지 진행됩니다.
hwangc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